항목 ID | GC08200068 |
---|---|
영어공식명칭 | Hill |
이칭/별칭 | 재,령,티,치,현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지수 |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봉우리와 산등성이 사이에 말안장 형태를 보이는 낮은 능선부.
[개설]
고개는 산등 너머로 이동할 때 넘어가야 하는 능선부 중에서 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동작구는 장기간의 침식을 받아 형성된 구릉성 산지와 낮은 언덕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지형적 특성상 각 구릉을 넘는 고개가 다수 분포한다.
동작구의 고개들은 서울특별시 내 다른 고개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1960년대 이후 도로 확장과 아스팔트 포장 과정에서 깎여 큰 고개들 정도만 오늘날 그 지형 기복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동작구의 고개 대부분에 ‘고개’라는 지명이 붙은 가운데, ‘고개’ 대신 ‘재’, ‘현(峴)’과 같은 지명 접미사가 쓰인 경우도 있다. 그 예로서 가막재, 매봉재, 살피재 등이 있으며, 까치고개의 경우 한자로 ‘작현(鵲峴)’이라 표기하기도 한다.
동작구와 인접한 구 경계에 걸쳐있는 고개로는 거북고개 등 6개가 있으며, 동작구 내 법정동 간 경계에 있는 고개로는 장승백이고개 등 4개가 있고, 하나의 법정동 경계 내에 있는 고개로는 서낭당고개 등 8개가 있다.
[동작구와 인접한 구 간 경계에 있는 고개]
동작구에 소재한 고개 중 인접한 관악구와 경계에 있는 고개로 거북고개, 능고개, 흐리목고개, 살피재, 원당고개, 까치고개가 있다.
거북고개는 동작구 신대방동에서 관악구 봉천동으로 이어지는 고개이다. 능고개, 흐리목고개, 살피재는 동작구 상도동과 관악구 봉천동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이 중 능고개는 국사봉 산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흐리목고개는 국사봉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산지의 말단부를 넘는 고개이다. 살피재는 국사봉과 서달산 사이를 남북으로 지나며 오늘날 ‘봉천고개’로 불리는 고개이다.
원당고개와 까치고개는 동작구 사당동과 관악구 봉천동의 경계에 위치하며, 둘 다 관악산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동일한 구릉성 산지[현 까치산근린공원]를 경계로 동서 방향을 연결하는 고개이다. 원당고개는 동작구 사당동 지하철 7호선 남성역과 관악구 봉천동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사이의 산지 중심부에 있다. 까치고개는 원당고개와 같은 산지에서 좀 더 남쪽의 산지 폭이 좁은 구간에 있다.
[동작구 내 법정동 간 경계에 있는 고개]
장승백이고개는 노량진동 남부와 상도동 북부를 연결한다. 아차고개는 노량진동 동부와 본동 서부를 연결하는 고개로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과 지하철 9호선 노들역 사이에 있다. 서낭당이고개도 노량진동 동부와 본동 서부 사이에 위치한 고개로 아차고개보다 좀 더 남쪽에 있다. 백운고개는 상도동과 사당동을 연결하며 서달산 서사면에 있다.
[동작구의 법정동 내에 있는 고개]
노량진동에는 노량진1동과 노량진2동을 연결하는 서낭당고개, 상도2동에서 노량진중앙시장으로 넘어가는 만양고개가 있다. 본동에는 고구동산 서쪽으로 매봉재가 있다. 상도동에는 국사봉의 북쪽에 위치한 강적골고개,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과 지하철 7호선 상도역 사이에 위치한 마치고개가 있다. 동작동에는 서달산의 동쪽 능선을 중심으로 양쪽 사면을 연결하는 가막재와 동재기고개가 있다. 신대방동에는 와우산 산록부에 쇠슬목고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