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병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31302
한자 義兵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종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병운동 - 전라남도 여수시

[정의]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1910년을 전후로 펼쳐졌던 항일 의병운동.

[개설]

한반도 남해안의 중심 항구인 여수시는 지정학적 이유로 일본의 침략을 많이 받아 왔다. 삼국 시대부터 끊임없이 한반도의 남해안을 침략해 노략질을 일삼아 온 왜구는 고려 후기 여수 지역 장생포에서 유탁(柳濯) 장군에게 격퇴당하였다. 왜구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도 수많은 침략을 감행하였는데, 이대원(李大源) 장군의 손죽도 해전에 이은 임진왜란 시기에는 전라좌수영과 삼도 수군을 통제하던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이 지역 수군들이 왜구를 물리쳐 풍전등화의 조선을 구하였다.

19세기 말, 세계 정세의 변화를 따르지 못하고 힘을 잃어버린 조선이 일본 제국주의의 야욕으로 나라를 빼앗기자 여수 지역의 수많은 애국지사가 항일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다. 특히 동학 농민 혁명이 일본의 개입으로 좌절되고 일본의 침략이 가중되면서 우국지사를 중심으로 침략을 막아 내기 위한 대응책이 모색되었다.

[전라남도 지역 의병의 봉기와 전개]

1894년(고종 31) 7월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1895년 10월의 명성 황후 시해 사건 등 국권 침탈이 계속되자 1904년~1905년을 전후하여 의병의 봉기가 전국적으로 이어졌고, 1907년 7월 19일 고종의 강제 퇴위와 8월 1일 군대 해산으로 전국적인 의병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었다. 이 무렵 전라도는 의병 항쟁의 중심지로 교전 횟수와 교전 의병 수에서 각각 25%와 24.7%, 1909년에는 47.3%와 60.1%를 차지할 정도였다.

전라도에서 의병 봉기를 주도한 인물은 기삼연(奇參衍), 기우만(奇宇萬), 고광순(高光洵) 등이었고, 최익현(崔益鉉)과 백낙구, 양한규(梁漢奎), 양회일(梁會一) 등이 창의에 나섰으며, 특히 최익현은 호남 의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전라남도 연안과 섬 지역에서 활동한 안규홍(安圭洪)은 일제의 남한 폭도 대토벌 작전[1909년 9월~10월]이 실시될 때까지 장흥, 완도, 고흥의 섬 지방을 중심으로 크게 활약하였다.

[여수 지역의 의병 활동]

1907년(순종 1)까지 의병의 조짐이 보이지 않았던 여수 지역에서는 1908년 2월 13일 여수군 읍내 동문에 의병대장이라 서명한 격문이 첨부되었다. 격문 첨부 후 몇 달간 잠잠하였으나 1908년 10월 율촌 장도의 일본인 집을 의병 40여 명이 습격하여 무기 등을 징발하여 갔다.

여수 의병의 반일 활동 지역은 돌산군의 여러 섬과 여수 인근의 해안, 그리고 순천과 가까운 율촌면 등으로 나타난다. 주된 공격 대상은 일본 군경, 순사 주재소, 재무서뿐 아니라 일본 어부도 많았다. 일본 어부들은 일본 침략의 첨병으로 높은 어획량을 기록하며 도서 지역 주민의 생존권을 위협해 마찰이 잦았기 때문이다. 1908년 11월 어업법 시행으로 일본인의 어업권 장악이 급증하면서 갈등은 더욱 고조되었다.

당시 일본 어민들은 조선인 소유의 어장을 불법적으로 약탈하기도 하여 조선인 어민들의 반발이 있었으며, 생존권 보호 차원의 의병 활동이 이어지면서 이주 일본인에 대한 공격이 잦았다.

여수에서 활동하는 의병들은 연해 지역 주민에게 자신들의 활동 목표와 방향을 전달하며 협조를 당부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여수재무서 직원와 우편 체송인을 공격하여 납부한 세금을 징발하고 군자금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은 세금 징수에 대한 저항과 부족한 재원 충당의 이중 효과를 거두었다.

여수 지역에서는 1908년 후반부터 약 1년간 43회의 의병 활동 내역이 확인되는데, 전라도에서는 가장 늦은 시기까지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1909년 9월에서 10월까지 이어졌던 남한 폭도 대토벌 작전으로 대부분 와해가 되었으며, 이 시기 여수에서 활동한 의병장은 15명 정도가 파악된다.

[여수에서 활동한 의병]

의병장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인 이는 안규홍(安圭洪)[1879~1910]이다. 전라남도 보성의 머슴 출신으로 알려진 안규홍에게 일제는 “가장 용감하고 가장 출몰이 기민하다.” 고 평하였다. 안규홍은 ‘담살이’ 또는 ‘깔담살이’라는 별명으로 많이 알려진 인물로 그가 어린 시절 꼴을 베는 머슴 출신이었기 때문에 불려진 이름으로 대토벌 작전에 체포되어 목숨을 잃었다.

장아무개 의병장은 여수를 비롯한 연해 도서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인물로 알려진다. 본인은 전라북도 부안 출신으로 자칭하였으나 주민들은 장흥 출신으로 추정하였다. 장아무개가 누구인지는 단정할 수 없지만, 도서 지방 활동 인물 중 장인복을 주목한다. 장인복은 심남일(沈南一)[1871~1910], 안규홍 의병장의 선봉장으로 활동하다 독립하였으며, 장흥과 고흥, 여수 등 남해안을 중심으로 활동하다 1909년 9월 체포되었다. 능주 출신으로 의병 투신 전에는 목수였다고 한다.

강승우는 순천 지역에서 활동하던 조규하(趙圭夏)[1877~1908] 의병장 부대에서 활동하다 독립하였다. 강승지로 불렸을 것으로 보는데 1910년까지 체포되지 않아 다소 행적이 애매하다. 일제 측 기록에 자주 등장하는데 순천의 강진원(姜振遠)[1881~1921] 의병장과 동일인으로 추정한다. 강진원은 1908년 남해의 언내도로 들어가 고향인 쌍암의 오성산 동굴에 은거하였다고 하며, 1921년 7월 16일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강승우는 비밀을 끝까지 지키기 위하여 7월 19일 옥중에서 혀를 깨물어 자결하였다.

조병현 의병장에 대해서는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다.

김경윤 의병장은 전라남도 고흥 출신으로 추정하며, 김경윤이 체포된 후 약 50명이 자수를 하였다고 한다. 김경윤 의병장의 행적도 더 이상 알려지지 않는다.

전라북도 진안 출신 의병장 이석용은 부하로 하여금 1909년 5월 남해안 일대를 정찰시킨 기록이 있다. 정확한 의도는 알 수 없지만 1910년 이후 국권 회복을 위한 비밀 결사 조직을 하다가 발각되어 체포되고 순국하였다.

일반 의병이던 김성택(金聖澤)[1878~?]과 이병현(李炳鉉)[1880~?]은 여수시 삼산면 초도 출신으로, 전라남도 완도와 해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유배수 출신 의병장 황준성(黃俊聖)[1878~1910]의 휘하에서 활동하였다.

황준성은 전라북도 진안 출신으로 최익현, 임병찬(林炳瓚)[1851~1916]이 주도한 태인 의병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완도로 유배되었던 인물이다. 10년 유배형이 선고되어 1908년 완도로 정배되었고, 그곳에서 학동들을 가르쳤다. 당시 의병 출신 유배수 대부분이 완도나 진도로 정배되었는데, 이들은 어업법의 시행으로 동요하던 어민들에 의해 추대되거나 스스로 의병을 조직하기도 하여 완도나 진도를 중심으로 의병 활동이 활발하였던 것이다.

정기채(鄭基采)[1880~1909], 김원석, 박우섭 등은 여수 출신으로 이들에 대한 행적 역시 명확하지 않다. 정기채율촌면에서 세무 담당 관리 처단을 주도한 의병이었고, 강승우 부대의 의병이었던 김원석과 박우섭은 이장을 처단한 의병이었다.

이석용 의병 부대의 양영만과 박덕삼은 돌산읍의 주재소와 감시 초병의 숙소와 일본인의 숫자, 활동 내용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빗장수로 가장하고 침투하였다가 발각되었다.

[일제의 대응과 여수 의병의 새로운 모색]

여수를 비롯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의병 활동이 거세어질수록 일제의 대응도 더욱 강화되었다. 일제는 강온책을 병행하여 한편으로는 귀순을 권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군대와 경찰력을 증강 배치하였다.

1908년 2월 초순에는 일본군 남부수비관구의 제14연대가 15개 단위 부대로 편성되어 전라남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그 결과 의병장 기삼연, 김준, 김율 등이 무참히 살해되었고, 의병 수백 명이 전사하거나 붙잡혔다.

일제는 1907년 12월 ‘귀순 및 면죄에 관한 조칙’을 발효시켜 귀순을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각 도마다 선유 위원을 파견하고 수비대, 헌병대, 도·군 각 기관에서 귀순자를 받아들였다. 이로써 1908년 10월까지 전국에서 총 8,728명의 의병이 귀순하였다. 이 중 경찰서로 귀순한 5,129명의 귀순자 중 전라남도 관내의 귀순자는 65명뿐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귀순에 응한 의병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자 일제는 1909년 강경책으로 ‘남한 폭도 대토벌 작전’을 계획하고 조선에 파견된 보병 2개 연대를 비롯한 육군·해군 조직을 총동원하여 전라남도 지역의 의병을 진압하기 시작하였다. 1909년 작성된 전라남도 지역 의병의 교전 횟수와 피해 상황을 보면 전라남도 의병의 1,013명 중 559명이 순천경찰서 관할로, 당시 순천경찰서 관할 지역은 순천, 광양, 고흥, 여수 지역으로, 여수를 비롯한 도서 지역에 의병이 집중되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일제는 전라남도 지역을 철저히 짓밟은 후 1910년 8월에 강제 점령하였다.

엄청난 타격을 받았음에도 살아남은 전라남도 지역 의병들은 독립을 향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중심 인물에는 임병찬이 있었다. 임병찬은 독립의군부의 결성을 주도하였다. 독립의군부는 1912년부터 고종의 밀지를 받아 추진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비밀 결사로 의병 출신들이 대거 참여하였는데, 특히 전라도 사람들이 많이 참여하였다. 1914년 독립의군부 조직이 탄로 나고 임병찬이 체포되었다. 임병찬거문도로 유배되었는데 그의 유배 생활은 『거문도 일기』에 잘 정리되어 있다. 임병찬의 비밀 결사가 탄로 나면서 호남 의병 활동은 막을 내렸다.

[여수 지역 항일 의병 활동 유공자]

1. 임병찬

임병찬은 고종의 밀명을 받아 비밀 독립운동 단체인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여 국권 회복 운동을 계획하였다가 실패한 한말 의병장이다. 1905년(고종 42)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 최익현과 더불어 의거 계획을 수립하였다. 4월 태인의 무성서원에서 대규모 의병을 일으키고, 관곡으로 군량을 삼고 진용을 정비하여 갔으나 6월 격전 중 최익현과 함께 체포되었다. 서울로 압송된 후 쓰시마섬으로 유배되었다가 1907년 1월 귀국하였다. 1912년 고종의 밀명을 받고 전라도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대한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여 항일 의병운동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5월 동지 김창식(金昌植)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고문 끝에 독립의군부 조직을 자백함으로써 그 운동은 실패하였다. 옥중에서 세 차례 자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6월 13일 거문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저서인 『돈헌문집(遯軒文集)』에 일제에 체포되어 취조를 받을 때의 기록을 비롯하여 이 시기 항일 의병과 관련한 자료들이 실려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 강진원

1907년 일제의 강압으로 고종이 강제로 퇴위되고 군대도 강제 해산되는 것을 분하게 여겨 전국 각지에서 다투어 의병이 일어나자 이에 호응하여 창의의 기치를 높이 들고 항일 투쟁 전선에 뛰어들었다. 1908년 의병 부대를 편성, 그해 10월 초 율촌면 장도에서 전개된 해전, 10월 9일 화양면 원포 전투 등 수많은 산병전에서 적을 교란, 격파한 이 지역의 대표적인 의병장이다. 1909년 일제의 의병 초토화 작전으로 많은 의병 활동이 중과부적으로 쇠퇴함에 따라 1909년 8월 중순 통영 연대도로 일단 피신하였다가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두모리 오성산 외딴 동굴에서 은거 생활을 하였으나, 은신처가 발각되어 체포되자 자결하였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3. 정기채

지금의 여수시 율촌면 조화리 동상개 사람이다. 1907년 7월 정미칠조약(丁未七條約)으로 군대까지 해산당하는 등 일제의 식민지나 다름없는 상황이 되자 정기채는 항일 무장 투쟁을 결심하고 전라남도 여수와 순천, 광양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 및 우편 체송인 공격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 3월 여수군 율촌면에서 여수재무서 일행 5명을 습격하여 그 가운데 2명을 처단하고 군자금 200원을 획득하였으며, 같은 해 5월 순천군 산두면에서 여수군 우편취급소 우편 체송인 산진금오랑(山津金五郞)을 처단하였다. 이후 광양 일대에서 활동하던 중 1909년 8월 29일 체포되었다. 같은 달 30일 오후 6시께 탈출하여 도주하면서 추적하던 일본 헌병대에게 돌을 던지는 등 강력하게 저항하다가 총에 맞아 순국하였다. 200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4. 김성택

지금의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사람이다. 황준성 의진에 가담하여 완도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김성택은 정미칠조약에 분격하여 전국적으로 수많은 의병이 봉기하여 일본군을 공격하거나 일진 회원을 비롯한 친일 주구배를 처단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무너져 가는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하던 시기에 황준성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의병 활동을 시작하였다. 김성택은 의병 자금을 확보하고자 비상수단으로 1909년 음력 5월 4일 동지들과 함께 총기 8정을 휴대하고 완도군 청산면의 각 이장을 주막으로 소집하여 이들로부터 군자금을 거두었다. 이어 같은 달 6일에도 완도군 여서도(餘瑞島)에 들어가 같은 방법으로 군자금을 징수하다 체포되어 1910년 11월 12일 광주지방재판소 목포지부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5. 이병현

지금의 여수시 삼산면 초도 사람이다. 황준성 의진에 가담하여 완도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이병현김성택과 마찬가지로 정미칠조약에 분격하여 전국적으로 수많은 의병이 봉기하여 일본군을 공격하거나 일진 회원을 비롯한 친일 주구배를 처단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무너져 가는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하던 시기에 황준성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의병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병현김성택 등과 함께 의병 자금을 확보하고자 비상수단으로 1909년 음력 5월 4일 총기 8정을 휴대하고 완도군 청산면의 각 이장을 주막으로 소집하여 이들로부터 군자금을 거두었다. 이어 같은 달 6일에도 완도군 여서도에 들어가 같은 방법으로 군자금을 징수하다가 다른 동지들과 붙잡혀 1910년 11월 12일 광주지방재판소 목포지부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재판에 불응하였다. 1911년 1월 24일 광주지방재판소 목포지부에서 징역 2년 반에 처한다는 재판을 받고 대구공소원 형사부에 항소하였으나 기각되었다. 2012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6. 김준길

여수 출신이자 호남에서 기의한 의병장으로서 부하 30여 명을 이끌고 여수 자매리(自梅里)에서 일군과 전투 중 1909년 9월 18일 순국하였다.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