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도경리 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금성 교회 는 1962년 대구 애락원 에서 퇴원한 교인 50여 명이 의성군 금성면 도경리 에 정착하면서 김종은 목사의 인도로 창립 예배를 가진 것을 계기로 하여 설립된 교회이다. 1962년 12월 8일, 김종은 목사와 교인들이 도경리 에 정착하면서 천막 ...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 운동가. 김성수(金成守) [1890~1965]는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 출신으로, 1919년 3월 16일 비안면 동부동 · 서부동 주민들에 의한 3·1 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적극 참여하였다. 의성군 에서 벌어진 3·1 운동 독립만세 시위는 3월 12일 비안면 비안 공립 보통학교 ...
-
...라 경상북도 예천군 에 편입된 현서면 을 제외한 비안군 일원과 용궁군 신하면 을 의성군 에 편입하였다. 1934년 4월 1일에는 산운면 과 조문면 을 금성면 으로 합하였다. 이런 행정 구역의 변화 과정을 거쳐 1936년 의성군 의 행정 구역이 18개 면 182개 동으로 짜여졌다. 18개 면은 의성면 · 단촌면 · 점...
-
...로 명기되어 명확하지 않다. 다만 ‘召文解'에서 “「소문」은 女子의 소문과 同音됨을 避하랴니 此를 顚倒하야 「文召」라할랴”라고 되어 있어 소문이라 읽었을 가능성이 있다.]"이 ‘금성(金城)'의 훈(訓)이라고 주장해 놓았다. 이어 「나침반(羅針盤)」 , 「연혁사(沿革史)」 , 「비사(秘史)」 , 「김씨등극(金氏登極)」 , 「초전리(草田里)」...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영주(尹營柱) [1893~1988]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출신으로, 대구 기독교 성경 학교(基督敎聖經學校) 에 재학 중 1919년 3월 8일 대구 시위에 참가한 후 고향으로 돌아와 의성 에서도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윤영주 는 3월 12일 대리동 교회 의 신도인 윤용구 와 ...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산축(申山祝) [1907~1939]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 출신으로, 1932년 5월 17일 일본 아이치현[愛知縣] 에서 문화 보급회(文化普及會)를 조직하여 한국인 노동자의 권익 보호 활동 및 민족 의식 고양을 위한 계몽 활동 등 항일 운동을 하다가 1938년 12월 5일 일본 경찰에...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진수(申震洙) [1885~1946]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 에서 출신으로, 1919년 3월 18일 의성읍 장날 전개된 3·1 운동 독립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3월 12일과 13일 대리동 교회 목사 박낙현 과 교인 윤영주(尹營柱) · 오상룡(吳相龍) 등이 3월 18일 의성읍...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운수(鄭雲樹) [1903~1986]는 의성군 금성면 에서 태어났으며, 1926년 연희 전문학교 재학 중 6·10 만세 운동에 가담하여 시위에 앞장섰다. 그후 미국 에 유학하여 뉴저지주 에 있는 장로교 종회 소속 프린스톤 대학 신학과에 들어가 1937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에서 ...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원현(李元鉉) [1926~1945]은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에서 태어났다. 대구 상업 학교 재학 중 1943년 4월에 동교생 이상호(李相虎) · 김상길(金相吉) · 서상교(徐尙敎) 등이 앞서 조직했던 항일 학생 결사 태극단(太極團) 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42년 5월에 결성된 태극단...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낙현(朴洛鉉) [1887~1957]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에서 출신으로, 1919년 3월 의성읍 장날 3·1 운동 독립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박낙현 은 조문면 대리동 교회 의 목사로 대구 성경 학당 에서 열린 사경회(査經會)에 갔다가 전국적으로 전개되고 있던 독립 만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