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157
한자 浦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환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창리포구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창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구도포구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호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벌말포구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오지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중왕리포구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중왕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도성리포구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도성리 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좁은 해안 어귀에 배가 드나드는 길목.

[개설]

서산시의 항구와 포구는 무역항과 어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역항은 국내외 무역선의 수출입 화물을 취급하고 국제 여객선이 입출항하는 항만으로 관세 부과, 검역, 출입국 관리, 동식물 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보세 창고 등 설비를 보유해야 한다. 국가 어항은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정하고 관리하며, 현지 어선 80척 이상, 어선 총톤 수가 200톤 이상인 항구와 포구에 지정되는 전국적 어업 근거지이다. 연간 1,000톤 이상의 어획고와 외래 어선이 기상 악화 시 연간 100척 이상 대피할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하여야 하며 어장 개발이 가능하다.

지방 어항은 시·도지사가 지정하고 관리하며, 현지 어선 20~80척, 어선 총톤 수가 50톤 이상인 항구와 포구로 지역 연안 어업 지원의 근거지이다. 연간 100톤 이상의 어획고와 외래 어선은 연간 30~100척 이상 대피할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어촌 정주 어항은 시장, 군수, 구청장이 지정하고 관리하며, 현지 어선 20척 이상인 항구와 포구로 지역 연안 어업 지원의 근거지이다.

[형성 및 변천]

옛날부터 서산 지역은 남북의 천수만가로림만, 서산만 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해안선이 복잡하며, 포구가 많이 발달하여 곳곳에 산재하였다. 그러나 오랜 기간에 걸친 간척지 조성으로 많이 사라져 현재 17개 항구와 포구가 존재하고 있다. 2011년 현재 서산시는 천수만가로림만, 대호지만 등 대규모 간척지가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충청남도 해안선의 14%[143.27㎞], 충청남도 갯벌의 22%[67.9㎢]를 차지할 만큼 긴 해안선과 넓은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에 의해 과거부터 포구가 발달하였으며, 조선 시대 조창과 포구에는 해안 방어 기지인 진(津) 등이 설치되었다. 또한 28개의 도서 중 웅도, 우도, 분점도, 고파도 등 4개의 유인도가 있어 포구는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수단이었다.

[현황]

2011년 현재, 서산시의 항구와 포구는 무역항 1개, 지정 어항 중 법정 어항 2개[국가 어항 1개, 지방 어항 1개], 비지정 소규모 어항과 포구 14개[육지 2개, 도서 3개, 기타 9개] 총 17개로 구성되었다. 무역항은 1991년 10월에 지정된 대산항이 있으며, 국가 어항은 삼길포항, 지방 어항은 간월도항, 비지정 소규모 어항 중 육지에는 벌말포구, 구도포구, 도서에는 고파도항, 우도항, 분점도항, 기타 호리포구, 개목포구, 중왕리포구, 도성리포구, 웅도포구, 창리포구, 왕산포구, 고창개포구, 독곶포구 등이 있다.

14개의 비지정 소규모 어항 중 지방 어항 지정이 적합한 항구와 포구는 구도포구, 벌말포구, 창리포구, 중왕리포구 등 4개소이며, 어촌 정주 어항 지정으로 적합한 항구와 포구는 고파도항, 도성리포구, 우도항, 웅도포구, 독곶포구, 호리포구 등 6개소, 어항 지정 부적합한 항구와 포구는 왕산포구, 분점도항, 고창개포구, 개목포구 등 4개로 파악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