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018 |
---|---|
한자 | 動物相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
집필자 | 황상일 |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종류.
[개설]
경상북도 의성군에 서식하는 동물은 우리나라 국토 전역에 분포하는 동물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의성군의 동물상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데, 『의성 지역의 자연 생태 조사 보고서』[환경부, 1999]의 일환으로 곤지봉[건지봉], 비봉산[다인면], 봉암산, 응봉산, 천등산, 갈라산, 천제봉, 황학산에 분포하는 포유류, 조류, 육상 곤충, 담수 어류를 조사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의성군에는 멧돼지, 두더지, 삵, 수달 등과 같은 포유류, 오색딱따구리, 붉은배매새, 꿩, 뻐꾸기 등의 조류, 피라미, 버들치, 갈겨니 등의 어류, 그리고 매미, 파리, 벌, 나비 등의 곤충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류]
1. 곤지봉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와 안사면 만리리에 위치하고 있는 곤지봉[327.8m]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고슴도치, 늑대,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삵, 수달,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로 총 18종에 달한다.
2. 비봉산[다인면]
높이 579.3m에 달하는 산지로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산지 일원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이며, 총 14종이 확인되었다.
3. 봉암산
봉암산은 높이 452.7m로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와 안사면 만리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산지이다. 봉암산 일원에는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멧밭쥐, 대륙밭쥐, 등줄쥐, 집박쥐로 총 18종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
4. 응봉산
응봉산은 의성군 안평면 하령리와 창길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386.4m의 산지이다. 응봉산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총 14종으로,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삵,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등줄쥐, 생쥐가 서식하고 있다.
5. 천등산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천등산은 높이 347.1m이다. 천등산 일대에는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삵, 족제비,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박쥐, 생쥐, 등줄쥐, 대륙밭쥐가 서식하고 있다.
6. 갈라산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와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569.7m에 달하는 산지인 갈라산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생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이다.
7. 천제봉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단촌면 상화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천제봉[358.5m]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총 14종으로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고양이, 노루,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생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이다.
8. 황학산
황학산은 의성군 옥산면 금학리와 안동시 길안면의 백자리·금곡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782.2m의 산지로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생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와 같은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
9. 비봉산[금성면]
비봉산[671.8m]은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 금성면 수정리, 가음면 이리 그리고 춘산면 사미리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다. 비봉산 일대에는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족제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집쥐, 생쥐, 등줄쥐, 멧밭쥐, 대륙밭쥐가 서식하고 있다.
[조류]
의성 지역의 곤지봉 지역에서는 총 32종의 조류 즉, 검은댕기해오라기, 붉은배새매, 꿩, 멧비둘기, 뻐꾸기, 벙어리뻐꾸기, 파랑새, 청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쇠딱따구리, 제비, 직박구리, 때까치, 딱새, 되지빠귀, 개똥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흰눈썹황금새, 오목눈이, 쇠박새, 진박새, 곤줄박이, 박새, 쑥새, 노랑턱멧새, 양진이, 밀화부리, 참새, 꾀꼬리, 어치, 물까치, 까치가 관찰된다. 이 가운데 희귀종 4종[검은댕기해오라기, 청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물까치], 천연기념물 1종[붉은배새매]이 관찰되었다.
다인면에 위치하고 있는 비봉산[다인면] 지역에서는 논병아리, 검은댕기해오라기, 중대백로, 왜가리, 꿩, 멧비둘기, 뻐꾸기, 청호반새, 오색딱따구리, 쇠딱따구리, 제비, 직박구리, 때까치, 굴뚝새, 딱새, 검은딱새, 호랑지빠귀, 흰배지빠귀, 개똥지빠귀, 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오목눈이, 쇠박새, 진박새, 박새, 노랑턱멧새, 참새, 찌르레기, 꾀꼬리, 어치, 까치, 까마귀[33종]가 서식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가운데 특정 종은 희귀종 3종[검은댕기해오라기, 청호반새, 오색딱따구리]이 관찰되었다.
봉암산 일대에서 서식하는 조류는 23종으로 논병아리, 중대백로, 쇠백로, 청둥오리, 말똥가리, 꿩, 멧비둘기, 뻐꾸기, 쇠딱따구리, 제비, 직박구리, 딱새, 붉은머리오목눈이, 휘파람새, 박새, 동박새, 노랑턱멧새, 참새, 찌르레기, 꾀꼬리, 어치, 물까치이다. 특정 종은 희귀종 2종[말똥가리, 물까치]이 관찰되었다. 백자봉 지역에서는 24종이 관찰되었는데 번식의 가능성이 있는 종이 17종, 번식 가능성이 낮은 종은 7종이었으며, 특정 종은 희귀종 3종[해오라기, 검은댕기해오라기, 청딱따구리]이 관찰되었다.
응봉산에서는 들꿩, 꿩, 멧비둘기, 뻐꾸기, 벙어리뻐꾸기, 쇠딱따구리, 제비, 귀제비, 직박구리, 딱새, 붉은머리오목눈이, 휘파람새, 오목눈이, 쇠박새, 진박새, 박새, 멧새, 쑥새, 노랑턱멧새, 참새, 찌르레기, 꾀꼬리, 어치, 까치, 까마귀[25종]가 서식하고 있다.
천등산에서 서식하는 조류는 총 24종으로, 검은댕기해오라기, 중대백로, 왜가리, 붉은배새매, 꿩, 멧비둘기, 뻐꾸기, 후투티, 쇠딱따구리, 직박구리, 딱새, 개똥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흰눈썹황금새, 오목눈이, 쇠박새, 박새, 쑥새, 노랑턱멧새, 긴꼬리홍양진이, 어치, 까치가 관찰된다. 특정 종은 희귀종 1종[검은댕기해오라기], 천연기념물 1종[붉은배새매]이 각각 관찰되었다.
[어류]
다인면 덕미리에 위치하고 있는 비봉산[금성면] 일대에서 보고된 담수 어류는 7과 20속 25종으로, 잉엇과 어류가 17종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미꾸릿과 어류가 3종, 나머지는 각각 1종이다. 피라미, 갈겨니, 긴몰개, 버들치가 우점하고 있는 양상이며,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참중고기, 긴몰개, 돌마자 및 동사리의 8종이다.
[곤충]
비봉산 일대에는 노린재목, 매미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나비목 등 총 6목의 58과 316종의 곤충이 보고되었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붉은점모시나비가 의성군의 비안면, 안평면, 사곡면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다. 비안면 지역은 산지의 암석이 드러나 있는 지대에서 발견되고 있다. 안평면은 지방도나 임도 가장자리에 기린초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이를 따라 붉은점모시나비가 분포하고 있는 특성을 보이며, 사곡면은 산지와 지방도와 인접한 암석 지대를 중심으로 자생하고 있는 기린초 자생지를 중심으로 서식지가 분포하고 있다.
[희귀 동물]
희귀 동물 가운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것은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호]와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이 있으며, 멸종 위기종으로는 삵, 붉은점모시나비가 서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