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흥 민씨묘 출토 장옷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502
한자 長衣
영어공식명칭 Jang-ot, Women's veil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의복/의복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6년 - 여흥 민씨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56년 - 여흥 민씨 사망
출토|발견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여흥 민씨묘 장옷 출토
소장처 경기도박물관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상갈동 496]
출토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동래정씨 선영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산83 지도보기
성격 의복
재질 능(綾)|주(紬)|단(緞)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래 정씨 선영(先塋)의 여흥 민씨묘에서 출토된 조선 시대 여성의 외출용 겉옷.

[개설]

장옷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바깥출입을 할 때 겉옷으로 입은 포(袍)의 한 종류이다. 조선 후기에는 장옷을 내외용으로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하기도 했다. 여흥민씨묘에서 출토된 장옷은 모두 열한 점이며 그 가운데 솜을 둔 장옷이 일곱 점, 솜을 두어 누빈 장옷이 네 점이다.

[연원]

1989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관악산 동래 정씨 선영에서 흥곡공파 정광경(鄭廣敬)[1586~1644]의 배위(配位) 여흥 민씨의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형태]

여흥 민씨묘 출토 장옷의 겉깃과 안깃은 모두 목판깃이며 이중 섶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매 끝에는 거들지를 덧대었다. 겨드랑이에는 소형 삼각 무가 달려 있다. 장옷의 깃과 거들지, 몸판 등은 꽃무늬가 있는 능과 단, 명주 등으로 만들었으며 안감은 모두 명주를 사용했다. 장옷의 길이는 대략 124㎝~130㎝ 내외이며 화장은 74.5㎝~85.5㎝로 편차가 큰 편이다. 깃나비는 9.5㎝~11㎝ 내외이며 안고름과 겉고름 일부가 떨어져 나간 것도 있지만 온전하게 남은 고름은 대략 1.5㎝~2㎝ 내외의 폭에 길이는 25.5㎝~36㎝ 정도이다. 누비 장옷의 누비 간격은 평균 2.5㎝~3.0㎝ 내외이며 가장 좁은 것이 1.5㎝이다.

[용도]

여흥 민씨묘 출토 장옷은 여성의 외출용, 방한용 겉옷이다.

[의의]

여흥 민씨묘 출토 장옷은 피장자의 생몰년이 확실한 매우 드문 사례이며 조선 후기 사대부가 여성 복식을 실질적으로 고증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