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巨文島)라는 지명은 문자 그대로 ‘큰 학문이 있는 섬’이라는 뜻이다. 거문도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거문도는 원래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삼도(三島)’라 불렸다. 그러다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영국이 불법으로 1885년부터 1887년까지 거문도를 점령한 거문도 사건 당시 청나라의 정여창(丁汝昌) 제독(提督)이 거문도에 자주 상륙하여 섬 주민과의 회...
여수는 ‘여수팔경’이니 ‘거문도 삼호팔경(三湖八景)’이라고 하는 형승지가 예로부터 전래되고 있을 정도로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여수반도에서 남쪽으로 103㎞ 정도 떨어져 있는 거문도 서도마을에는 거문도의 삼호팔경 중 오경이 있는 곳이다. 이곳을 가기 위해 전라남도 여수시 교동 여객선터미널에서 하루 두 차례 ‘오가고호(13:40 출항)’와 ‘거문도 사랑호(18:20 출항...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여수 출신의 학자. 1885년(고종 22)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유촌마을에서 태어난 박규석은 재주가 출중하여 어려서부터 귤은 김유(金瀏)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경사(經史)와 문학(文學)에 뛰어났던 박규석은 스승인 김유가 타계하자 스승의 유고를 모아 『귤은집(橘隱集)』을 펴냈으며, 낙영재(樂英齋)를 이어 받아 후학을 양성하였다. 삼산면 초대 집강(執綱)[...
서도에서 동쪽 방향으로 24㎞ 떨어진 백도는 병풍처럼 아름답게 펼쳐져 있는 무인절경의 섬이다. 동력선이 나오기 전에는 서도 사람들은 돛단배를 타고 이 섬으로 고기잡이하러 나간다. 마을로 돌아올 때 바다 위에 떠 있는 돛단배가 햇살에 비칠 때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거문도 출신의 유학자 김유(金瀏)[1814~1884]가 지은 『귤은재집(橘隱齋集)』에 거문...
바닷가 마을의 돌담이야 대부분 비슷비슷하겠지만 서도리마을의 돌담은 유난히 높게 느껴진다. 바닷가의 돌담은 대개가 파도에 닳아서 모나지 않은 둥근 돌담이 많지만 서도리의 돌담은 네모반듯하게 깨어지는 이 지역 바윗돌의 특성 때문에 반듯반듯한 게 특징이다. 바람 때문에 높은 돌담은 쌓았지만 대문은 만들지 않았던 과거에는 동남쪽 무넹이가 바라다보이는 사립문 쪽을 바라보면 항상 선바위가 기...
서도마을 앞바다에서 해안을 따라 뱃길로 섬 둘레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가거나 마을 뒤편 남서 방향으로 오솔길을 따라가면 음달산 자락과 바다가 만나는 해안가에 아름다운 형상을 가진 기암절벽이 많다. 이곳에서 남쪽 방향으로 조금 가면 해변에 넓은 바위가 있는데 바위 정상에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해지는 둘레 80m, 깊이 6m 크기의 연못이 있다. 서도에서는 이 연못을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신념 체계. 유교의 교리는 공자의 인의(仁義) 정신으로 윤리 도덕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대도(大道)를 실천하고 보급하여 도의사회(道義社會)를 건설하자는 유학 정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유교는 현실성을 중시하고 현실 문제를 개혁하려는 데 중점을 둔 교학 사상으로 내세나 이면 세계, 사후 세계는 말하지 않으려고 한다. 넓은...
오경 중의 하나인 이곡명사(梨谷明沙)는 서도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해변가 뱃골을 말한다. 뱃골이란 배가 계곡 사이로 다니는 데서 유래한 지명(또는 골짜기에 돌배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함)이다. 그런데 뱃골이 먹는 배로 해석되어 ‘이곡(梨谷)’으로 표현된 것이다. 뱃골 해변은 수정과 같이 맑은 바다와 하얀 모래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자아낸다. 거문도 출...
서도마을에서 가까운 넓은 앞바다에는 고기잡이철이 되면 수백, 수십여 척의 고깃배들이 몰려들어 고기를 잡는다. 고기잡이배들은 불빛을 보고 몰려드는 갈치와 멸치 등을 그물로 유인하기 위하여 고깃배 위에 촉광이 높은 수많은 집어등을 켜게 되는데, 어두운 밤하늘 아래에 고깃배들이 불야성을 이루게 되면서 넓은 바다가 휘황찬란한 광경으로 바뀌게 된다. 이것이 홍국의 고기잡이 불빛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