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레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677
이칭/별칭 파래질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 「뜨레질」 『의성의 민요』에 수록
가창권역 「뜨레질」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지도보기
성격 노동요|농업 노동요|파래질 소리|맞두레질 소리|뜨레질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멕받 형식
박자 구조 2음보
가창자/시연자 김태식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정안5리와 안계면 용기 5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노동요.

[개설]

경상북도 의성군에서는 가뭄에 논에다 물을 퍼 넣을 때, 용두레 대신에 맞두레를 썼던 것으로 보인다. 두레 양쪽에다 긴 줄을 달아 2인이 갈라서 쥐고 마주서서 하는 물푸기 작업을 노래한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뜨레질」은 김태식[남, 1932년생, 정안 5리 출생]가 부른 노래이다. 의성군에 전하는 노동요로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의 민요』 192쪽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정안 5리와 안계면 용기 5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뜨레질」은 멕받 형식을 띄고 있으며 받음구는 “오호호 타래요”라고 노래한다. 메김구의 경우 2음보 형식을 띄고 있다.

[내용]

[메]

오호호타래요.

[메]

이논배미 물을퍼서/ 이물한바가치 퍼가지고/ 이논배미 서마지기/ 물을퍼서 모를심고.

[메]

이 그나락을 키운후에.

[메]

나락열매 맺인후에/ 〈낫으〉로다 베인후에/ 이줄저줄 씌운후에/ 마른데로 시러다가// 탈곡하야 지은후에/ 방아깐에 찧은후에/ 나많고도 불쌍한님/ 우리부모 모셔다가 // 흰쌀밥을 짓잤더니/ 모지고도 모진사람/ 왜놈에게 다뺐겼네/ 오호 타래요.

[현황]

가뭄에 맞두레를 사용하여 물을 퍼 넣으면서 부르던 노래이므로, 농업 기술이 발달한 요즘은 맞두레가 사라지면서 「뜨레질」을 거의 부르지 않는다. 하지만 남성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농업요로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뜨레질」은 노동요이며 농업 노동요에 속한다. 지금은 양수기 등의 사용으로 맞두레질을 많이 하지 않지만, 「뜨레질」을 기억하고 부르는 사람들은 남성들 사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