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554
한자 魂-
이칭/별칭 지노귀굿,씻김굿,망묵굿,수왕굿,산오구굿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천도하는 굿.

[개설]

혼덕굿 은 죽은 자의 생전 원한이나 욕구를 풀어 주고 모든 죄업을 씻어 주며 천도하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특히, 뜻밖의 재앙으로 죽거나 제명대로 다 살지 못하고 죽은 사람의 혼이 원한으로 산 자를 해코지를 한다고 생각될 경우, 무당을 불러서 굿을 한다. 이를 ‘넋굿’, ‘오구굿’이라고도 한다. 의성 지역은 ‘오구굿’이라고 부른다. 죽은 조상이나 가족을 위해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산오구굿이라 하여 산 사람의 사후를 위해 미리 오구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오구굿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여 지노귀굿, 씻김굿, 망묵굿, 수왕굿 등으로 불리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오구굿은 한이 맺혀 저승과 이승을 헤매는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고이 가게 하는 기능과 살아 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에 대한 죄의식을 해소하고 죽은 사람과 화해를 이루기 위해 시작되어 오래전부터 성행되어 왔다. 죽은 사람을 삶에서 자유롭게 해줌과 동시에 죽은 사람이 이승으로 오지 못하게 하려는 산 자의 염원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제의]

의성 지역은 오구굿을 하려면 죽은 사람의 혼을 건져 올려야한다. 혼을 건져 올리는 것은 혼덕을 매는 것부터 시작된다. 혼덕 안에는 죽은 사람이 생전에 입던 옷, 죽은 사람의 사진, 돈, 한 주먹 정도 되는 쌀이 들어가 있다. 이렇게 혼덕을 매고 나서 망자가 죽은 자리에 가서 혼을 부른다. 망자의 혼이 오면 매어져 있던 혼덕이 덜덜덜 거리면서 혼이 실리게 된다.

망자가 물에 빠져 죽었을 때는 혼덕을 비닐에 싸서 물속에 던져 혼을 건진다. 물에 빠진 혼이 건져진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망자의 머리카락이 비닐봉지 안에 있거나, 나머지 하나는 비닐봉지 안에 쌀이 움푹 파여져 있는 자국으로 알 수 있다.

이렇게 혼이 혼덕에 실리게 되면 미리 차려져 있던 상과 더불어 혼상을 차린다. 상차림은 모두 같은데, 삼실과, 명태포, 돼지고기, 사과, 배, 수박 등의 과일과 막걸리를 올린다. 혼덕굿을 할 때에는 망자의 혼이 들어오기 때문에 집안의 가정신들을 위하지 않는다. 또 굿을 할 때 꽃을 방안에 달아놓는데, 이는 망자가 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은창기 보살은 꽃을 직접 만들지는 않고 구입을 한다. 꽃을 차례로 방방마다 꽂고, 길베를 만든다. 길베를 찢고 나서 망자의 혼을 해원하면 굿은 끝이 난다. 오구굿을 할 때는 무당 2~3명이 함께 하며, 2012년 경비는 크게 할 경우 3,000만 원이 들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오구굿의 장소는 주로 무속인의 신당이나 의뢰인의 자택이 일반적이지만 익사하거나 비명횡사한 경우 사건의 현장 주변에 임시 신당을 차리기도 한다. 신체는 죽은 사람의 옷가지나 생전의 애장품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