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921
한자 申鼎周
이칭/별칭 경백(景伯),도와(陶窩)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64년연표보기 - 신정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83년 - 신정주 향시에 급제
몰년 시기/일시 1827년연표보기 - 신정주 사망
출생지 신정주 출생지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길천리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신정주 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옥련사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지도보기
묘소|단소 신정주 묘소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금산
성격 유학자
성별
본관 아주(鵝洲)

[정의]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가계]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경백(景伯), 호는 도와(陶窩). 신성구(申聖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신도발(申道潑)이고, 아버지는 신종인(申種仁)이며, 어머니는 선산 김씨(善山 金氏) 김기대의 딸이고, 부인은 김해 김씨(金海 金氏) 김원묵(金元黙)의 딸이다.

[활동 사항]

신정주(申鼎周)[1764~1827]는 3~4세에 글을 해독하기 시작해 7~8세에 『통감(通鑑)』, 10세에 『소학(小學)』과 사서(四書), 12세에 삼경(三經)을 읽었다. 1779년(정조 3) 옥련사(玉蓮寺)에서 공부하였으며, 이듬해에는 족부(族父) 신체인(申體仁)에게 수학하고, 정종로(鄭宗魯)의 문하에서도 공부하였다.

1783년 향시(鄕試)에 급제하고, 이어 1809년(순조 9)에는 영남의 명망 있는 여러 학자들과 더불어, 홍여하(洪汝河)가 편찬한 『휘찬려사(彙纂麗史)』 교정 작업에 참여하였으며, 구미[지금의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812년 『구장지(龜庄誌)』와 「구미촌 향약(龜尾村 鄕約)」을 지어 주민 교화(敎化)에 힘썼다.

1817년 대구의 팔공산(八公山)에 가서 평산 신씨(平山 申氏)와 아주 신씨가 분파되는 사적(事蹟)을 고찰하였다. 이후 호서(湖西) 지방을 두루 유람하며, 여러 시와 글을 남겼다고 한다. 만년까지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로지 학문 연구와 향약 실시 같은 향촌 교화에 주력하여 ‘학행(學行)’으로 고을에서 이름을 높였다.

[학문과 저술]

문장에 능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만록(漫錄)」, 「호서 기행록(湖西 紀行錄)」 등이 6권 3책의 문집 『도와집(道窩集)』에 전한다.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자경육잠(自警六箴)」과 「암실명(暗室銘)」을 지어 자신의 경계로 삼았으며 『구장지(龜莊誌)』는 지금까지 아주 신씨가 세거하고 있는 구장(龜莊)[현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의 지리지이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금산(錦山)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