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913 |
---|---|
한자 | 卞泰和 |
이칭/별칭 | 농눌(聾訥),대이(大而)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병훈 |
출생 시기/일시 | 1682년 - 변태화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36년 - 변태화 경상도 선산의 백운동으로 이거 |
활동 시기/일시 | 1749년 - 변태화 『상례』 초집 |
몰년 시기/일시 | 1761년 - 변태화 사망 |
출생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 1리[비산(飛山)]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신기]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 1리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장국 1리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 1리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 2리 |
수학|강학지 | 농눌재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1리 |
묘소|단소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 1리[비산(飛山)]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초계(草溪) |
[정의]
조선 후기 의성군 비안 출신의 학자.
[가계]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대이(大而), 호는 농눌(聾訥). 첨정(僉正) 변득인(卞得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변영(卞瑩)이고, 아버지는 변삼오(卞三迕)이고, 어머니는 호군(護軍) 오준신(吳俊臣)의 딸 울산 오씨(蔚山 吳氏)이고. 부인은 윤역(尹墿)의 딸 해평 윤씨(海平 尹氏)이다.
[활동 사항]
변태화(卞泰和)[1682~1761]는 가학으로 글 읽기를 시작하여, 8세에 『소학강의(小學講義)』를 읽었다. 1693년 유후상(柳後常)의 문하에 들어가 수업하였다. 1700년 향시(鄕試)에 나갔으나, 이듬해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더 이상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다. 1706년에 이만부(李萬敷)를 찾아가 성리서 등을 문의 하였다. 1708년에는 향중(鄕中)에서 재행(才行)에 대하여 천거하기로 논의하였지만, 이를 고사하였다.
1713년 비산(飛山)에서 내동(內洞)[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의 신기(新基)[새터]로 옮겨가 복거(卜居)하였다. 1718년 권두경(權斗經)과 권상일(權相一)을 찾아가 유골(柳矻)·변용(卞勇)·이훈(李薰)·장문서(張文瑞) 등의 효행을 추모하는 사우 건립을 논의하였다. 이후 1723년에 사현사(四賢祠)를 완공하여 봉안식을 행하였다. 1736년 선산(善山)의 백운동(白雲洞)[의성군 구천면 청산 1리]으로 이거(移居)한 후 서재를 짓고 농눌재(聾訥齋)라 부르고, 뒤편에 존양대(存養臺)를 쌓았다.
농눌재에서 수학하면서 임필대(任必大), 채형락(蔡亨洛), 남도전(南圖戩), 이대춘(李大春) 등의 제현들과 강론과 저술 활동을 하였다. 1745년 이현(梨峴)[의성군 구천면 장국 1리]으로 거처를 옮긴 후 괴음정(槐陰亭)과 여러 초옥을 지어서 지냈다. 1754년 부인의 장례를 마친 후 비안현 학계(鶴溪)[비안면 안정리]로 이거하여 살다가, 1758년 원산(元山)[의성군 구천면 유산 2리]의 신기(新基)[새터]로 옮겨 복거(卜居)하였다.
[학문과 저술]
1740년 『제현고적초(諸賢古蹟抄)』 1부를 집성하고, 1741년 「선악자경설(善惡自警說)」을 지었으며, 1749년 『喪禮』를 초집하였다. 1750년에는 「유계(遺戒)」를 지었다. 1939년에 후손 변두성(卞斗星) 등이 『농눌재 유고(聾訥齋 遺稿)』를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최탁(崔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7대손 변홍묵(卞弘默)의 발문이 있다. 연보(年譜)에 이어 시 11수, 잡저 13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묘소]
묘는 의성군 구천면 내산 1리[비산(飛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