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677
한자 忌祭
이칭/별칭 기제사(忌祭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김덕묵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돌아가신 분의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祭祀).

[개설]

제사는 차례(茶禮), 시제(時祭)[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에 지내는 제사 또는 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기제(忌祭) 또는 기제사(忌祭祀), 불천위제(不遷位祭)[나라에 큰 공적을 세우거나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남긴 이들에게 내려지는 불천위를 받은 이의 기제사]가 있는데 일반 가정에서는 주로 차례, 시제, 기제를 지내왔다. 기제사는 돌아가신 분의 기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조상에 대한 추모는 고대부터 있었겠으나 현재와 같은 유교식 기제사는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 때까지만 해도 주로 절에서 재의 형태로 제사를 치르는 경우가 많았으나 조선이 건국되고 『주자가례(朱子家禮)』[중국 명나라 때에 구준(丘濬)이 가례에 관한 주자의 학설을 수집하여 만든 책으로 주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사항이 실려 있다.]에 의한 예절이 권장되면서 유교식 기제사가 차츰 자리를 잡게 되었다.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신분에 따라 제사 지내는 대수에 차등이 있어 조선 시대에 통치의 기준이 된 최고의 법전(法典)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6품 이상의 벼슬아치는 3대까지, 7품 이하 벼슬아치는 2대까지, 일반 서민은 부모 제사만 지내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18세기 무렵이 되면 『주자가례』가 완전히 뿌리를 내리면서 중국과 같은 4대 봉사(四代奉祀)[고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할아버지, 아버지의 사대 신주(神主)를 집안 사당에 모시는 일]가 행해지게 되었다.

[절차]

제사에는 어적, 육적, 계적, 삼색 실과, 삼색 나물, 각종 전, 떡, 메, 탕 등 기본적으로 구비해야 할 음식이 있다. 정성이나 형편에 따라 많이 차릴 수도 있고 간소하게 할 수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할 음식들은 생략할 수 없다. 음식을 장만한 후 진설(陳設)[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을 한다. 집안에 따라 진설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는 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시이(棗栗柿梨),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등의 방법을 참조하여 차린다.

제사의 차례는 분향(焚香), 강신(降神),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 개반(開絆), 삽시(揷匙), 정저(正箸), 합문(闔門), 계문(啓門), 헌다(獻茶), 철시(撤匙), 복반(覆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 순으로 이어진다. 기제사는 밤에 지내는데 원래는 돌아가신 날 중 가장 빠른 시간인 0시에 제사를 지내야 하지만 요즘에는 초저녁에 지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이유로 제사를 지내지 않으며, 도시화 되어 친척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살기 때문에 서로 제사를 지내도 왕래를 하는 경우가 줄어들기 때문에 생활 문화에서 제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화되고 있다. 하지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의 경우를 예로 보면, 오늘날도 교회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은 아직도 대부분 기제사를 지낸다. 특히 계양 이씨나 경주 이씨처럼 오랫동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터를 잡고 살아온 집안의 경우는 여전히 제사를 중시하며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