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341
한자 無等山風水
이칭/별칭 서석산 풍수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동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동구|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담양군 남면
해당 지역 소재지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동구지도보기
성격 풍수

[정의]

광주광역시의 진산(鎭山)인 무등산에 대한 풍수 해석.

[개설]

무등산 풍수광주광역시 북구동구, 전라남도의 화순군과 담양군에 걸쳐 있는 무등산의 자연지리를 음양오행설로 풀이한 해석이다.

[명칭 유래]

무등산은 산 모양이 무덤을 닮아 '무덤산', 너덜과 주상절리가 많아 '무돌산'이 한자로 옮겨지면서 '무등(無等)' 또는 '서석(瑞石)'이 되었다. 극락강과 대비한 불교 풀이 기원도 있다.

[자연환경]

무등산은 꼭대기에 9천만 년 전 중생대 화산 활동 때 펄펄 끓는 용암이 식으면서 수축되어 수직 방향으로 갈라져 생긴 돌기둥이 우람한 비수 모양으로 서 있다. 이름하여 입석대(立石臺)서석대(瑞石臺)이다.

무등산은 호남정맥 한복판에 자리한다. 전라북도 장수군 영취산에서 '주화산~내장산~설산'을 거쳐 창평 월봉산에 이른 멧발[산줄기]은 고서 고산(高山), 지실 별뫼에서 유둔재 과협을 감돌아 무등으로 솟구친다. 아침햇살과 저녁노을이 달리 비쳐서 해석도 구구한 용(龍)은 두 갈래로 뻗으면서 광주광역시를 보듬고 있다. 서쪽으로 내린 능선은 바람재를 거쳐 향로봉에서 북쪽으로 올라 장원봉 자락을 이루어 우백호가 되고, 남서쪽으로 치달려 너릿재를 거쳐 '분적산~장군산~양림산'으로 이어져 온 광주공원 성거산 등성이는 좌청룡에 해당한다. 이 울타리 안에 광주광역시가 형성된 것은 고려 때로 여겨진다.

[현황]

무등산 북사면에서 흘러내린 시내와 광주천은 광주광역시 시민들의 젖줄이다. 안정된 수세는 조선시대 수전농업, 일제강점기 이후 상수도 수원지가 되었다. 아버지같이 든든하고 어머니처럼 포근한 산인 무등산은 이웃을 대하는 친구요,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는 광주인의 고해성사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