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1591 |
---|---|
한자 | -[達城郡]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경호 |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저녁에 달집을 태우면서 제액초복을 비는 놀이.
달집태우기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뜰 무렵에 나뭇더미를 쌓아 생솔가지, 대나무, 볏짚과 함께 달집을 짓고 달이 떠오르면 달집에 불을 붙여 태우면서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이다. 달집이 탈 때 나는 연기와 불을 보고 점을 치기도 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달집태우기의 연원은 분명하지 않다. 다만 달집태우기가 기풍의례(祈豊儀禮)의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아 오랜 농경 문화의 터전에서 생성되고 전승되어 온 풍속의 하나로 생각된다.
달성보(達城洑)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과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을 잇는 낙동강의 보[둑을 쌓아 흐르는 물을 막고, 그 물을 담아 두는 곳]이다. 달성군 논공읍 하리에 있는 달성보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날 달집태우기 행사가 열린다.
달성군에서는 2013년부터 정월 대보름 달맞이 문화제 행사의 일원으로 달성군 논공읍 하리 달성보에서 달집태우기를 행하고 있다. 달성 군민의 건강과 소망을 담아 기원제를 지내고, 달성 문화원 놀이패가 지신밟기를 한 후 달집에 각 가정의 소망을 담은 소원지를 매달고 태우며 불꽃놀이도 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에서는 정월 대보름날에 윷놀이와 소고기 국밥으로 마을 회관에서 마을 행사를 하고, 마을 들판으로 가서 달집태우기를 하며 논다. 몇 마리의 돼지를 잡아 국밥을 만들어 주민과 구경꾼에게 나누어 주며, 행사 중간에 숯불이 생기면 그 불로 돼지고기를 굽고 나누어 먹는다. 달집에 불이 타오르면 마을 농악대는 북과 징, 꽹과리로 흥을 돋우며 춤을 추고, 타오르는 달집의 불속에 모두의 한 해 액운을 막아 달라고 기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금 1리에서는 넓은 현풍들에 나가서 달집을 태웠다. 지금은 현풍천에 가서 유가읍 전체가 함께 달집을 태우고 논다. 청장년들은 달을 먼저 보면 재수가 있다고 하여 마을 주변 높은 산 정상에 올라 달불을 놓고 소원을 빌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