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20067 |
---|---|
한자 | 栗下川 |
영어공식명칭 | Yulhacheon Stream |
이칭/별칭 | 반계,매여천(梅余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용계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전구간 | 율하천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
해당 지역 소재지 | 율하천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용계동![]() |
성격 | 하천 |
면적 | 13.36㎢ |
길이 | 9.38㎞ |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일대에서 발원하여 금호강에 합류하는 지방하천.
율하천은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일대에서 발원하여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일대에서 금호강에 합류하는 지방하천으로 유로연장은 9.38㎞, 유역면적은 13.36㎢이다.
율하천은 율하동의 지명유래가 되며, 처음에는 율하천의 수질이 좋아 ‘반계’라고 불렸다. 이후 하천 주변에 밤나무가 무성하게 군락을 이루고 있어 ‘율하(栗下)’로 불리게 되었다.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일대에서 발원한다고 하여 ‘매여천(梅余川)’이라고도 불렸다.
율하천의 유역분지는 경상누층군[백악기-상부쥬라기] 불국사층군 화강암질의 초례산[637m], 능천산[380m], 요령봉[492m]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산지가 형성한 계곡부를 빠져나온 율하천은 동구 율암동 일대에서부터 금호강에 합류하는 합류지점까지 하천 양안들 따라 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율하천의 양안을 따라 용계지구도시개발지구, 대구안심뉴타운, 안심체육공원 등이 있다. 그리고 고속국도 1호선 경부고속국도, 55호선 중앙고속국도 및 여러 도로가 교량으로 율하천을 횡단하며, 대구도시철도 1호선은 하저터널로 율하천을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