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44
한자 儒近帖-乾-坤-屯-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유근첩 건|유근첩 곤|유근첩 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32호|제509-33호|제509-3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유근첩 건|유근첩 곤|유근첩 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유근첩』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홍억 외 38인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 편지글을 모은 서간첩.

[개설]

『유근첩(儒近帖)』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유근첩』은 그 중 하나이다. 3권으로 구성되었으며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32호|제509-33호|제509-3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유근첩』은 건(乾)·곤(坤) 두 첩과 따로 권수를 표기하지 않은 한 첩[이하 ‘일 첩(一帖)’으로 표기] 등 모두 세 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42㎝×31㎝(乾·坤)와 30㎝×20㎝로 건·곤첩과 일 첩의 크기가 다르다. 쪽수는 건첩이 34쪽이고 곤첩은 30쪽인 반면, 일첩은 41쪽으로 가장 분량이 많다. 건첩의 표지에는 ‘중산아향 건 연전서옥장(重臣亞卿 乾 硯田書屋藏)’, 곤첩의 표지에는 ‘황각서제공 곤 연전서옥장(黃閣諸公 坤 硯田書屋藏)’, 그리고 나머지 일 첩에는 ‘향월황각 연전서옥장(卿月黃閣 硯田書屋藏)’라는 글이 부기(附記)되어 있다. 세 권의 첩에는 홍억(洪檍)[1722~1809], 운석(雲石) 조인영(趙寅永)[1782~1850], 풍고(楓皐) 김조순(金祖淳)[1765~1831] 등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중기에 활동하였던 39인의 편지 54통이 실려 있다. 일 첩의 앞 두 쪽에는 ‘인물산수화(人物山水畵)’와 ‘조충묘도(鳥蟲猫圖)’ 1점씩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유근첩』은 표지의 부기에 비추어 보건대 ‘연전서옥(硯田書屋)’에 소장되었던 책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전서옥이 어디인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중신아향 건(重臣亞卿 乾)’, ‘황각제공 곤(黃閣諸公 坤)’, ‘향월황각(卿月黃閣)’이라고 한 것은 쓴 사람의 품계에 따라 편지를 분류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같은 사람이 쓴 편지가 각 첩에 흩어져 있어 분류가 명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유근첩』의 가장 두드러진 점은 안동 김씨,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김조순(金祖淳), 김이양(金履陽)[1755~1845], 김희순(金羲淳)[1757~1821], 김이재(金履載)[1767~1847], 김이익(金履翼)[1743~1830], 김달순(金達淳)[1760~1806], 김이도(金履度)[1750~?], 김근순(金近淳)[1772~?], 김이교(金履喬)[1764~1832] 등 장동(壯洞) 김씨가 주거나 받은 편지가 많은 점이다. 특히 김희순이 받은 편지가 12통, 쓴 편지가 8통으로 가장 많으며, 수신자를 알 수 없는 편지 중에도 그가 받은 편지가 더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희순은 1804부터 1805년까지 두 해 동안 경상감사를 지냈는데, 받은 편지들은 그 무렵에 조정의 고관들로부터 받은 것들이다. 그 편지들에 대부분 ‘선물을 받아 고맙다’고 인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중앙의 관리에게 많은 선물을 보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사람들의 편지 역시 선물과 청탁 등에 관한 내용이 많고 산소(山所) 문제와 관련한 편지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편지들의 가치가 의례 그러하듯 이들 편지 역시 당시 문인 사대부들의 관심사와 함께 사회적 정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문화재 지정 명칭은 ‘『유근첩』건·곤·둔’이지만 ‘『유근첩』건·곤 외 일 첩’이 올바른 명칭이다.

『유근첩』의 건·곤은 책의 형태 등이 똑같지만 둔이라고 표현한 책은 크기가 완전히 다르고 연번도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책 표지에는 '儒近帖'이라는 제목을 쓰고, ‘重臣亞鄕 乾 硯田書屋藏’, ‘黃閣諸公 坤 硯田書屋藏’, ‘鄕月黃閣 硯田書屋藏’이라고 작은 끌씨가 제목 아래에 부기되어 있다.

때문에 이 책을 일련의 번호를 부여해서 건, 곤, 둔이라 표기하는 것은 자의적이라 생각되며, 있는 그대로 마지막 첩에는 따로 일련 번호를 붙이지 않고 '외 일 첩'으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