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132 |
---|---|
한자 | 槐村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박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전구간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석탑리|박곡리|괴산리![]() |
성격 | 하천 |
길이 | 7㎞ |
폭 | 40m[최대 하천]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에서 발원하여 안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괴촌천은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 윗재에서 발원하여 석탑리와 경계를 형성하며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박곡리와 괴산리의 경계로 넘어가 사방들 부근에서 유로를 서남쪽으로 변경하여 안평 초등학교 부근에서 안평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총 길이는 7㎞ 정도이며, 하천의 최대 하폭은 40m이다.
괴촌천은 3개의 3차 하천이 모여 4차수 하천을 이룬다. 4차수 하천에 해당되는 구간은 박곡리에서 안평천으로 유입되는 지점까지이며 길이는 약 4.5㎞ 정도이다.
괴촌천은 괴산리 괴촌 마을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괴촌이라는 마을 지명은 장씨 성을 가진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주변에 홰나무 숲이 울창하기 때문에 ‘홰나무 괴(槐)’자를 써서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괴촌천을 이루는 유역 분지는 남쪽의 천등산[347.1m], 서쪽의 윗재와 수문산[281.0m], 그리고 북쪽의 높이 250~300m 내외인 구릉성 산지로 구성되어 있다. 괴촌천 일대에 낮은 구릉성 산지가 분포하는 것은 괴촌천 유역 분지의 기반암이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진주층[중하류부]과 일직층[중류부~상류부], 후평동층[최상류부]과 같은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괴촌천은 규모가 작아 하천 양안에 넓은 평야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괴촌천 유역에 서식하는 동물로는 검은댕기해오라기, 붉은배새매, 고라니, 멧돼지, 삵[멸종 위기 2급 보호종], 다람쥐, 청솔모, 집박쥐, 대륙족제비, 고슴도치, 너구리 등이 있다.
괴촌천 양안에는 규모가 작은 곡저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며, 쌀·마늘·고추·자두와 같은 특산품이 재배되고 있다. 괴촌천을 따라 지방도 912호선가 지나고 있는데, 윗재를 넘어 안평면 박곡리와 신월리, 의성읍을 연결하고 있다. 이 도로는 교통이 발달하기 전부터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으며, 괴촌천과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 도로를 따라가면서 괴촌천을 관찰하기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