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0005
한자 三神
영어의미역 Goddess of Childbirth
이칭/별칭 지앙신,지양할매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준옥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출산과 육아를 관장하는 세 신령.

[개설]

옥황상제의 명을 받아 인간 세상에서 아기의 많고 적음, 있고 없음, 해산 등을 주관하는 신으로 ‘삼신할머니’ 혹은 ‘산신(産神)’이라고도 부른다. 환인·환웅·단군의 삼신과 동일하다는 설도 있으나 주로 ‘삼기는(生의 고어) 신’, 즉 생(生)을 관장하는 신으로 이해되며 여수 지역에서는 ‘지앙’ 혹은 ‘지양할매’로 불렀다.

[봉안 형태]

삼신은 포태(임신)와 출산뿐만 아니라 15세에 이르기까지의 양육도 관장하기 때문에 주로 여성들이 믿는다. 신체는 단지나 바가지를 썼으며 여기에 쌀을 담고 한지를 접어 덮은 다음 명주실로 고정시켜 북쪽으로 걸쳐진 시렁의 아랫목 구석 쪽에 얹어 둔다. 이 상징물은 매년 새로 만들기도 하며 계속 두기도 한다.

[기원 형식과 내용]

일반적으로 출산이 있으면 정화수·밥·미역국 등 삼신상을 산모의 방에 차려 놓고 절을 하며 부정을 가린다. 즉, 태어난 아이는 삼신이 주관하므로 그 아이가 훌륭히 자랄 수 있도록 삼신에게 기원하며 더불어 산모의 회복과 다음의 잉태도 무사하길 빈다.

전라남도 여수 지역의 경우는 출산 후에 단지 하나를 깨끗이 씻어서 쌀을 담고 미역을 걸치며 그 앞에는 정화수 한 그릇을 떠 놓은 상을 하나 놓는다. 쌀과 미역은 산모가 먹는데 초이레, 두이레, 세이레는 꼭 삼신상에 올린 쌀과 미역을 먹었다. 이 기간이 끝나면 금줄을 불사르고 단지는 깨끗이 씻어서 다시 쓴다. 그리고 백일이나 돌 때도 쌀과 미역을 먹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