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찬지(纘之), 호는 학천(鶴川). 강계 판관(江界 判官) 박충무(朴冲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 박유부(朴有阜)이고, 아버지는 참봉 박경신(朴景信)이며 어머니는 동래 정씨(東萊 鄭氏) 감찰 정기(鄭琦)의 딸이다. 부인은 영천 이씨(永川 李氏)로 이세헌(李世憲)의 딸이다. 박승(朴承)[1520~1577]은 1526년...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창길 교회는 1904년 6월 20일 괴산 교회[현 박곡 교회]에 다니던 최달모와 쌍계 교회의 김선실 장로가 협력하여 예배당 3칸을 건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21년 김선실이 장로로 장립되었다. 1942년 6월 28일 일제의 탄압으로 예배당을 철거당했으며,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박곡 교회와 연...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창리동, 두역동, 외북면의 알길동과 안동군 일직면의 평팔동 일부를 병합하여 창리와 알길의 이름을 따서 창길동이라 하였다. 창리(倉里)는 조선 시대 천정석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에 창고[社倉]를 설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포동은 고을 아전이 벼슬이 싫어 은신처로 정한 곳이고, 개상곡은 개척한 마을이 골짜...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불 좌상. 안평면 창길리는 응봉산(鷹鳳山)의 동쪽 기슭에 자리 잡은 감상골 등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창길리 석불 좌상은 감상골의 서편으로 약 300m 거리의 응봉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창길리 석불 좌상은 현재 ‘효구사(曉求寺)’란 현판이 걸려 있는 작은 건물 안에 봉안되어 있다. 이 건물은 1979년 건립되었는데,...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창길리 선돌은 안평면사무소에서 안평 의성로를 따라 왼쪽으로 350m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오른쪽 지방도 927호선[봉호로]을 따라 북으로 1.4㎞ 정도 가면 창길 1리가 나온다. 안평면 창길리 창리 마을 입구, 삼거리 국도변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창길리 선돌은 ‘창길 1리’ 마을 표지석 뒤쪽에 눞혀져 있는데 형태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선돌. 창길리 선돌은 안평면사무소에서 안평 의성로를 따라 왼쪽으로 350m 정도 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오른쪽 지방도 927호선[봉호로]을 따라 북으로 1.4㎞ 정도 가면 창길 1리가 나온다. 안평면 창길리 창리 마을 입구, 삼거리 국도변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창길리 선돌은 ‘창길 1리’ 마을 표지석 뒤쪽에 눞혀져 있는데 형태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창길리 절터는 응봉산 기슭 창길리 감상골 마을 뒤쪽에 있다. 이 일대는 목구사(睦求寺)라는 절터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주변에서 기와 조각이 발견되기도 한다. 현재 절터는 밭으로 경작되고 있어서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우나, 1979년에 전면과 측면 각각 1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을 지어 석불 좌상을 안치하여 ‘목구사(睦求寺)’라...
-
조선 후기 단밀현[현 의성군 단북면] 출신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병산(屛山)], 자는 창숙(昌叔), 호는 만와(晩窩)이다. 아버지는 손익진(孫翼振), 어머니는 이창국(李昌國)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 할아버지는 손치(孫緻), 증조할아버지는 손명삼(孫命三), 부인은 김우빈(金禹彬)의 딸 숙인(淑人) 의성 김씨(義城 金氏)로 알려져 있다. 손흥조(孫興祖)[1765~1832...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학중(學仲), 호는 창헌(蒼軒). 조광현(趙光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시태(趙時泰)이고, 아버지는 조희창(趙希昌)이고, 어머니는 서치용(徐致龍)의 딸 달성 서씨(達城 徐氏)이다. 부인은 아주 신씨(鵝州 申氏)이다. 조우각(趙友慤)[1765~1839]은 일찍부터 같은 동네의 김종덕(金宗德)에게 학문을 배웠다. 조광조(趙光...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호는 창호(菖湖). 이여해(李汝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원도 관찰사 이광준(李光俊)이고, 아버지는 부윤 이민환(李民寏)이다. 이정숙(李廷橚)[?~?]은 스스로 탐구하여 독실히 공부하였다. 학행(學行)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과거를 통해 벼슬에 나가는 뜻을 버리고 향리에서 학업에 열중하였다. 유집(遺集)이 있다....
-
조선 시대 의성 지역에 근거를 두고 활동하던 지배 계층. 지금의 의성 지역은 조선 시대 의성현(義城縣), 비안현(比安縣)을 비롯하여,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이었던 단밀현(丹密縣), 보주(甫州)[예천(醴泉)]의 속현이었던 다인현(多仁縣)과 용궁현(龍宮縣)의 일부[현재 안사면 지역]가 해당한다. 의성 지역은 후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홍유(洪儒)와 김홍술(金洪術)의 출신지로서 호족 세력이...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효자. 본관이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신호(申濩)의 손자이다. 신복성(申福成)[1568~1628]은 서울에 거주하다 도호(道湖) 마을, 현재 의성군 단밀면 용곡 1리로 옮겨와 살았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어질었으며, 자라서는 그 마음이 청렴하고 검소하였다. 그리고 형제들과의 우애 또한 두터웠다. 1615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단북(丹北)의 월봉산...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의성 성당 소속의 공소. 1963년 새마을 사업의 편물 교육 담당자로 파견된 천주교 신자 이유정과 아네스 할머니의 만남이 금성면에 천주교가 처음으로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1965년 이유정이 현지인 전진규와 혼인하여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정착하면서 4명의 신도로 공소 예절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의 공소는 월세로 얻은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 있는 산. 천등산을 보고 운중반월형(雲中半月形)이라 하여 구름 가운데 반달이 솟은 모양을 하고 있어, 산이 마치 하늘의 등불 같다고 하여 천등산(天燈山)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천등산의 높이는 347.1m로, 북쪽 사면은 괴촌천의 분수계에 해당되며 서쪽과 남쪽, 동쪽 사면은 안평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다. 천등산의 북쪽을 흐르는 괴촌천은...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도언(道彦), 호는 천사(川沙). 김현좌(金賢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이모(金履模)이고, 아버지는 김남응(金南應)이며, 어머니는 순천 김씨(順天 金氏) 김주의(金冑疑)의 딸이다. 부인은 한산 이씨(韓山 李氏) 이시화(李時和)의 딸이다. 김종덕(金宗德)[1724~1797]은 평생 향리(鄕里)에서 학행(學行)을 행한 인물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일어난 태풍·홍수·산사태·해일·폭설·가뭄·황사 등의 이상 기상 현상과 지진·화산 등의 자연 현상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한반도의 경상북도의 내륙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의성군은 낙동강의 지류 하천인 위천과 쌍계천이 가로지르고 있어 여름철 집중 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풍수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하천의 유로가 짧고 겨울철 강수량이 부족하여 봄철에 가뭄 피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단촌면 상화리에 걸쳐 있는 산.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에서 제를 올리면 비가 내렸다 하여 천제봉(天祭峰)이라고 하였다 한다. 또한 일제 강점기 측량 기지로서 정상에 돌로 표시된 표고점이 있어 푯대산, 푯대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천제봉의 높이는 358.5m로, 북쪽 사면은 단촌면 상화리에 속하며, 남쪽 사면은 의성읍 중리리에 해당된다. 남대천의 소지...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 교회. 의성의 천주교는 박해의 역사로부터 시작된다.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때 주문모를 비롯한 교도 약 100명이 처형되었고, 약 400명이 유배되었다. 그중 경상도로 유배된 56명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바로 의성에서 세상을 떠났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안사면 쌍호동에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이곳으로 피신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소속의 천주교 교회.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이웃하는 안사면 쌍호리에는 1866년 병인박해 전부터 공소가 있었기 때문에 다인면의 전교는 그곳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하지만 다인면에서의 실제적인 복음 전파는 1948년 상주의 다래 공소 출신인 김시종이 의성 지역으로 이사해 오고, 1952년 경상북도 예천에 살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1959년 4월 1일 예천 본당 안계 공소로 인가되면서 예배소로서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1961년에는 다인 본당으로 소속이 이전되었다가, 1972년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안덕화[베드로]가 초대 신부로 부임해 왔다. 1980년 성전을 완성하였으며, 1992년에 기공한 사제관과 교육관이 1997년에 완공되고 이때 어린...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청호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안계 성당 소속의 공소 신유교난(辛酉敎難)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사학징의(邪學懲義)』에 따르면 1801년 경상도로 귀양 온 56명의 신자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의성에서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시기에 의성군 안사면 쌍호동에는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이곳으로 피난 온 것으로 추정되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소속의 천주교 교회.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이웃하는 안사면 쌍호리에는 1866년 병인박해 전부터 공소가 있었기 때문에 다인면의 전교는 그곳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하지만 다인면에서의 실제적인 복음 전파는 1948년 상주의 다래 공소 출신인 김시종이 의성 지역으로 이사해 오고, 1952년 경상북도 예천에 살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1959년 4월 1일 예천 본당 안계 공소로 인가되면서 예배소로서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1961년에는 다인 본당으로 소속이 이전되었다가, 1972년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안덕화[베드로]가 초대 신부로 부임해 왔다. 1980년 성전을 완성하였으며, 1992년에 기공한 사제관과 교육관이 1997년에 완공되고 이때 어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의성군 동부 지역에 천주교가 처음 전파된 것은 1934년으로 추정된다. 당시 의성군 의성읍 후죽동의 김경조 가족과 의성군 의성읍 도서동의 이복우 가족이 의성 공소의 신자였다고 한다. 이듬해인 1935년 대구 명치정에서 정영수와 홍성술이 각각 도서동과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으로 이사를 오면서 4가구의 20명에 가까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의성군 동부 지역에 천주교가 처음 전파된 것은 1934년으로 추정된다. 당시 의성군 의성읍 후죽동의 김경조 가족과 의성군 의성읍 도서동의 이복우 가족이 의성 공소의 신자였다고 한다. 이듬해인 1935년 대구 명치정에서 정영수와 홍성술이 각각 도서동과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으로 이사를 오면서 4가구의 20명에 가까운...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산운리, 탑리리에 걸쳐 있는 산.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와 『대동여지도』[1432년] 그리고 「1872년 지방지도」에는 금성산을 영니산(盈尼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32년] 의성현 산천조에는 금학산[현재 금성산]과 금성산[현재 비봉산]은 모두 현 남쪽 25리에 있으며, 비봉산은 현 서남쪽 3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철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세계사에서 철기 문화의 시작은 기원전 1400년경 히타이트(Hittite) 왕국에서의 철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 보급되면서부터이다. 우리나라 철기 문화는 기원전 3세기경 중국 전국 시대 연나라로부터 철기가 들어오면서 시작되었고, 자체적인 철기 생산은 기원전 2세기경에 이루어져 주조, 단조 철기까지 제작되었다. 철기 생산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철로 위에 차량을 운전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 및 수송 체제. 한국에서 최초로 철도가 건설된 것은 1경인선 부설이며 미국인 모오스(Morse)에게 시설권을 주었으나 자금 조달에 실패하자 일본이 이를 인수하여 1897년 개통했다. 그 이후 1901년에 경부선이 착공되었고, 이어서 경원선, 호남선, 경의선이 완공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대륙 침략과 북부...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숙(子淑). 아버지는 오필달(吳必達)이다. 해주 오씨는 오철조의 6대조인 오국화(吳國華) 때부터 의성에 거주하였다. 오철조(吳哲祖)[1645~1717]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을 때 슬픔을 이기지 못해 몸이 상할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그의 아버지는 그가 첫돌 때 세상을 떠나 철모르고 상복을 입은 것을 죽는 날까지 마음의 응...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에 안기도찰방(安奇道察訪)에 딸린 철파역(鐵坡驛)이 있었으므로 역마, 역촌 또는 철파라 하였다고 한다. 철파는 풍수상 마을 뒷산의 혈(血)이 약해 큰 인재가 안 난다고 하여 강하다는 뜻의 쇠 철(鐵)자와 방패를 나타내는 언덕 파(坡)자를 합해 부른 데서 연유한다. 자연 마을인 철파는 임진왜란 당시 주민들이 철방패와 같은 굳은 정신력...
-
조선 전기 의성 지역에 은거한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문경(文卿), 호는 첨성(瞻省). 흥무왕 김유신 장군의 38세손이며, 고조할아버지는 판관을 지낸 김성대(金性大)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예의 판서(禮儀 判書) 김신빈(金信彬)이다. 할아버지는 동부 참봉(東部 參奉) 김이렴(金以濂)이다. 아버지는 참봉 김태옥(金泰玉)이고, 어머니는 한상문(韓尙文)의 딸 청주 한씨(淸州 韓氏...
-
조선 전기 비안현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문중(汶中), 호는 신재(愼齋). 진주 판관(晉州 判官) 장일신(張日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숙(張叔)이고, 아버지는 효자로 정려된 찰방(察訪) 장문서(張文瑞)이다. 장운(張運)[1535~1605]은 지금의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효우가 출중하여 여러 사람들의 모범이 되었다고 하며, 법도를 세...
-
1919년 의성 지역의 청년·유지층이 결성한 청년 운동 단체. 의성 청년회는 3·1 운동 이후인 1919년 7월 25일에 의성 지역의 청년·유지층이 지식 계발과 덕육 함양 등을 목표로 하여 결성한 청년 운동 단체이다. 의성 청년회는 1920년 이후 전국에서 우후죽순으로 설립되던 청년회에 비해 훨씬 일찍 결성된 특징을 보였다. 의성 청년회는 청년회 대표단의 명칭을 여타 청년회와는 달...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사설 교육 기관. 조선 후기 청도 김씨 문중에서 설립한 서당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는 1600년을 전후하여 청도 김씨가 마을을 개척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신안 서당(新安 書堂)의 위치를 알려주는 조선 시대 자료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신안 서당의 전통을 계승한 체화정(棣華亭)은 경상북도 의성...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청동기로 도구를 만들어 쓰던 시대. 청동기 시대는 일반적으로 인류의 물질 문화 발전 단계 중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때부터 철기를 만들어 쓰기 직전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당시의 시대상은 본격적 농경의 시작, 무문 토기의 사용, 마제 석기의 본격적 사용, 사회 복합도의 증가로 정의된다.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의 개시 연대는 오르도스 청동기와의 교차...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청로리와 산운리를 연결하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금성면 청로리의 이름을 따서 청로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1998년 새롭게 준공된 청로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81.0m, 교량의 총 폭은 12.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12.0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 판까지의 수직 높이는 6.0m이다. 교각과 이웃하는 교각 사이를 정의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로리(靑路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청로(靑路)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 이 마을이 개척될 때 부근에 푸른 숲이 우거진 길이 많아 청로라 일컬었다 한다. 또한 이 마을이 예로부터 교통의 중심지로 주요 교통로가 지나갔기 때문에 청로라는 지명이 생긴 것으로도 보인다. 조선 시대에는 청로역이 있어, 역마라고도 불렀다. 조선 말 경상북도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청산 교회는 1906년 소시영, 최선주가 군위의 봉황 교회를 다니다 분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06년 1월 10일 설립되었으며 1909년 예배당을 건축하였다. 1917년 9월 26일 소병식이 초대 장로로 장립하였다. 1923년 의성군 구천면 용사리에 용사 교회[현 구천 교회]를 분립시켰다. 1937년 예배...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산리(靑山里)는 청화산(靑華山) 아래 위치하여, 마을 이름을 청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선산군 도개면의 청운동, 백운동, 신흥동, 갈현동 일부와 경상북도 비안군 내서면의 신촌을 병합하여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이 되었다. 1987년 1월 1일 의성군 구천면에 편입되어 의성군 구천면 청산동이 되었다. 1988...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청계의 청(淸)자와 운방의 운(雲)자를 합쳐 청운이라 하였다. 운방(雲坊)은 마을이 구름 속에 달이 가려져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운중침월(雲中沈月)이라고 하다가 1850년에 운방이라고 개칭하였다. 청계(淸溪)는 임진왜란 때 남원 양씨(南原 梁氏)가 이 마을에 피난왔다 정착하였는데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붙...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에 있는 봉수터. 중율리 봉수터 유적은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의 높이 401.6m 봉화산 정상에 위치한다. 의성군의 다른 봉수터 유적보다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봉수 시설은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나 부분적으로 연대(煙臺)로 추정되는 석축 구조물이 허물어져 있다. 그리고 주변에는 봉수 시설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와편들이 흩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청춘을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노래. 「청춘가」는 일제 강점기로부터 신민요로 불렸던 이팔 청춘가를 말한다. 비안면 이두2리에서 불려지는 「청춘가」의 경우 청춘이 지나 가는 것을 아쉬워하는 타령조의 노래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사는 김해수[남, 채록 당시 80세]가 부른 것으로 의성 문화원에서 2003년에 발행한 『비안현의 문화와 오늘의 삶』 77...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청호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안계 성당 소속의 공소 신유교난(辛酉敎難)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사학징의(邪學懲義)』에 따르면 1801년 경상도로 귀양 온 56명의 신자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의성에서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시기에 의성군 안사면 쌍호동에는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이곳으로 피난 온 것으로 추정되는...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와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군위군 소보면 보현리에 걸쳐 있는 산.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청화산(靑華山)은 원래 ‘화할 화(華)’가 아닌 ‘불 화(火)’를 써서 청화산(靑火山)이라 표기했다고 한다. 산이 푸르고 사철 꽃이 불타듯 만발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이름 때문인지 유난히 산불이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어느 선비가 청화산의...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와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군위군 소보면 보현리에 걸쳐 있는 산.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청화산(靑華山)은 원래 ‘화할 화(華)’가 아닌 ‘불 화(火)’를 써서 청화산(靑火山)이라 표기했다고 한다. 산이 푸르고 사철 꽃이 불타듯 만발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이름 때문인지 유난히 산불이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어느 선비가 청화산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체육 관련 활동 및 그 제반 시설. 의성군은 체육 분야에서 일찍부터 저력을 발휘하여 야구·축구·농구·연식 정구 등에서 군세를 떨쳤다. 특히 한국 레슬링계의 대부로 명성을 떨친 김종석, 복싱계의 김보현 등은 한국 체육사에 기록될 의성 출신 체육인이다. 8·15 해방 이후에는 야구팀이,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는 농구가 경상북도를 대표하였고 ,...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사설 교육 기관. 조선 후기 청도 김씨 문중에서 설립한 서당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는 1600년을 전후하여 청도 김씨가 마을을 개척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신안 서당(新安 書堂)의 위치를 알려주는 조선 시대 자료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신안 서당의 전통을 계승한 체화정(棣華亭)은 경상북도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초등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 소학교는 갑오개혁 이후 한성 사범 학교 부속 소학교가 그 시작이다. 1895년 8월 1일 ‘소학교령’이 시행되면서 한성에 8개의 관립 소학교를 비롯하여 각 도에 약 100여 개의 공립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의성군에서도 1906년 11월 의성 초등학교의 전신인 사립 문소 학교(聞韶 學校)가 설립되어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와 대리리를 연결하는 다리. 초전교는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 지역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설치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북서류하는 쌍계천을 따라 나란히 달리는 지방도 927호선에 건설되었다. 초전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1999년에 성능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수공사를 통해 새롭게 준공된 초전교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전리(草田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이름에서 따온 명칭으로, 약 350년 전 조선 현종(顯宗) 때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일대가 풀이 무성한 풀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설에 따르면 이곳은 조문국(召文國)의 궁터였는데 신라가 조문국을 합병을 한 후 평민의 거주를 금하여 초목이 무성하였다 한다. 또한 마을이 형성되기 전 부근에 역이 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동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 마을의 조상이나 수호신을 기리는 대표적인 민간 신앙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마을에서 동제를 지냈으나 현재는 60여 개의 마을에서만 마을의 특성에 맞추어 동제를 공동으로 지내고 있다. 현재 마을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는 대부분 유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과거에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동제를 통해 조금이나마 마을...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경원(崔慶源)[1878~1965]은 의성군 조문면(召文面) 대리동(大里洞) 교회의 목사 박낙현(朴洛鉉) 등과 함께 1919년 3월 18일 의성읍 장날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최경원은 박낙현의 만세 시위 운동에 참가하기로 하고, 의성읍 도동 교회[현 의성읍 교회]의 김천특(金千特)도 동참하기로 뜻을 모았다. 최경원은 의성으로 나갔...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달모(崔達模)[1860~1932]는 전응주와 함께 주민 50여 명을 이끌고 마을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만세 시위를 벌였다. 그후 창길(倉吉)·삼춘(三春)·박곡(朴谷)·석탑(石塔)·신월동(新月)·화령(花寧) 등 부근의 각동에서 운집한 800여 명의 시위대와 함께 대한 독립 만세를 고창하였고, 이튿날 밤에도 창길동에서 신월동까지 만세 시위를 벌였다...
-
조선 전기 의성으로 이주해 온 경주 최씨 입향조.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언(明彦). 관가정(觀稼亭) 최청(崔淸)의 후손이다. 최명후(崔明厚)[?~?]는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였으며, 선조 연간에 남쪽의 예천 모정리(茅亭里)[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로 이주·개척하여 우거하였다. 후에 정자를 짓고, ‘모운(慕雲)’이라 하였다....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순권(崔順權)[1889~1961]은 1919년 3월 15일 대사 교회의 영수 이종출을 비롯하여 교인들이 계획한 만세 시위에 찬성하고 오후 7시 100여 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뒷산에 올라가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3월 16일에는 동민 100여 명이 독립 만세를 고창하며 기도동(箕道洞)에서 창길동(倉吉洞)까지 시위를 벌인 후 해산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신라 시대 지명.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위치한 조문국은 신라에 의해 멸망한 후 조문군으로 편제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매조홀현(買召忽縣)’은 ‘미추홀(彌鄒忽)’로 표기된 바 있고, ‘미추(未鄒)’ 이사금을 ‘미조(未召)’라고도 표기하기도 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을 통해서 ‘조(召)’와 ‘추(鄒)’가 서로 환치할 수 있었던 이표기였음...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秋夕)은 음력 8월 15일을 일컫는데,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면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추석은 다른 말로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추석 무렵은 좋은 계절이어서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5월 단오에 젊은 여인들이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놀이. 그네뛰기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5월 단오에 젊은 여인들이 나뭇가지에 줄을 길게 매어 줄 아래에 앉을깨[발판]를 대고 그곳에 올라서서 그네를 뛰며 즐기는 놀이이다. 그네뛰기는 밀어 끌다 또는 밀어 옮겨간다는 뜻으로 ‘추천희’·‘반선희’·‘유선희’라고도 한다. 그네뛰기가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것...
-
개항기 의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자는 문호(文虎), 호는 추하(秋河). 부인은 능주 구씨(綾州 具氏)이다. 손정표(孫廷彪)[1849~?]는 지금의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 일대에 거주하였는데, 어려서 천성이 총명하였고 성장함에 문장이 훌륭했다고 한다. 고종 때 사헌부 감찰(司憲府 監察)을 역임하였다. 스스로 호를 추하(秋河)라 정하였으며, 고향 신흥리에서 친우들과 학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가축을 사육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사업. 축산업은 소, 돼지, 닭, 양, 오리 등의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여 인간의 실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산업이지만, 조선 말기까지 축산의 발전은 미미하였으며, 식생활에서도 축산물의 비중은 낮았다. 국민 소득 수준의 증대로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면서 축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축산...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축산업을 경영하거나 축산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로서 축산 농민이 조직하는 협동조합. 의성 축산업 협동조합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축산 농가 조합원들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와 유통의 원활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지역 주민의 화합과 문화를 활성화하고자 개최하는 대표 축제.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는 매년 의성군과 민간단체에서 주최·주관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대표적인 지역 축제로는 3~4월 의성 산수유 꽃 축제·의성 마늘 국제 연날리기 대회, 5월 신평 왜가리 축제·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7월 세계 의성 마늘 축제(예정), 10월 가을빛 고운 대축제·의성 쌀 문화 축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지역 주민의 화합과 문화를 활성화하고자 개최하는 대표 축제.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는 매년 의성군과 민간단체에서 주최·주관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대표적인 지역 축제로는 3~4월 의성 산수유 꽃 축제·의성 마늘 국제 연날리기 대회, 5월 신평 왜가리 축제·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7월 세계 의성 마늘 축제(예정), 10월 가을빛 고운 대축제·의성 쌀 문화 축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축산업을 경영하거나 축산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로서 축산 농민이 조직하는 협동조합. 의성 축산업 협동조합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축산 농가 조합원들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와 유통의 원활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의병.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려(成麗), 호는 춘계(春溪). 5대조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이며, 고조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김대장(金大壯)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김순(金錞)으로 화(禍)를 피하여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경상도 의성군 팔지리(八智里)로 이거하였다. 할아버지는 김치방(金致邦)이고, 아버지는 설강(雪崗) 김득민(金得民)이고, 부인은 김...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춘산 교회는 1920년 10월 15일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춘산 교회는 예배 관련 업무를 보고 있다. 주일 예배는 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열리며, 새벽 기도회는 하절기 오전 4시 30분, 동절기 5시 30분에 열린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연로하기 때문에 농번기에는 교...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던 공립 중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함양하여 도덕적인 사람을 기른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여 지식인을 기른다, 경쟁력을 키우는 창의력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나눔과 배려를 통해서 행복하고 다양한 교육 복지를 실천한다, 조화롭고 쾌적한 교육 환경으로 교육 공동체를 조성한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이...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효도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씩씩한 어린이, 예절이 바르고 서로 돕는 어린이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로우며 꿈이 있는 어린이’이다. 1931년 8월 19일 춘산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9월 20일 개교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사미리에 있었던 공립 춘산 초등학교 분교장. 나라를 사랑하고 효도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씩씩한 어린이, 예절이 바르고 서로 돕는 어린이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로우며 꿈이 있는 어린이’이다. 1936년 5월 14일 춘산 공립 보통학교 부설 효선 간이 학교로 개교하...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본래 빙산(氷山)이라는 냉기를 내뿜는 산이 있어 빙산면이라 불리어 오다가 조선 철종 때 냉기 때문에 인재가 안 나온다는 마을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춘산면(春山面)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그후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고 한다. 본래 의성군 빙산면이었다가 조선 철종 때 춘산면이라 하여 효선(孝善), 불회(佛會), 상사(上思), 하사(下思), 봉미(...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는 춘산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 춘산면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 산업 경제, 민원 및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0년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면이 행정 구역 단위가 되었으며, 1917년 10월 1일 면장과 유급 면서기·회계원·구장을 구성원으로 하는 춘산면사무소를 설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원 재정팀과...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춘산면은 8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전체가 험준한 산지를 이루며, 주변에 산두봉·북두산·구무산·늑두산 등이 솟아 있다. 지역 내 곳곳을 흐르는 소하천 연안을 따라 경지가 분포할 뿐 평야는 거의 없다. 춘산면에는 김녕 김씨, 경주 김씨, 일직 손씨, 의성 김씨 등이 세거하고 있다. 대사 1...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는 춘산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 춘산면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 산업 경제, 민원 및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0년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면이 행정 구역 단위가 되었으며, 1917년 10월 1일 면장과 유급 면서기·회계원·구장을 구성원으로 하는 춘산면사무소를 설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원 재정팀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아이의 출생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 출산 의례는 한 집의 구성원들이 아들을 기원하는 기자(祈子) 행위로부터 생일에 이르는 의례를 통해 한 사람을 사회적 존재로서 인정하는 단계에서 행하는 의례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가문을 계승하는 첫 시작은 남자 아이를 출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집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부정한 것이 침범하지 못하게 금줄을 치고 삼...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이장(而壯). 호는 자암(紫巖). 시호는 충간공(忠簡公). 아버지는 관찰사(觀察使)를 역임한 이광준(李光俊), 어머니는 인의(引義) 신권(申權)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 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이여해(李汝諧), 증조할아버지는 진사(進士) 이세헌(李世憲), 처는 광주 이씨(廣州 李氏)와 군수(郡守) 홍귀상(洪龜祥)의 딸...
-
고려 전기 의성 출신의 장군. 본관은 의성. 초명은 홍술(洪術), 시호는 충렬(忠烈). 딸은 고려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 부원 부인(義城 府院 夫人) 홍(洪)씨로 의성 부원 대군(義城 府院 大君)을 낳았다. 홍유(洪儒)[?~936]는 궁예 말기인 918년 6월에 기장(騎將)으로 배현경(裵玄慶), 신숭겸(申崇謙), 복지겸(卜智謙)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전통 시대와 개항기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忠)을 실천한 신하. 전통 시대에 신하에게 가장 강조하고 요구하였던 덕목은 충(忠)이다. 이 덕목은 자신보다 높은 존재인 임금을 위해 행동하고, 개인보다 국가를 위해 행동할 것을 기대한다. 따라서 충신은 왕조의 교체기나 국난의 시기에 많이 나타난다. 왕조의 운세가 다하여 기울어져도 새로운 왕조에 협력하지 않는 것이...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아산(牙山). 자는 치군(致君), 호는 귀래정(歸來亭). 사직(司直) 장번(蔣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과(司果) 장사종(蔣嗣宗), 아버지는 사정(司正) 장인(蔣嶙), 어머니는 현감(縣監) 홍준(洪濬)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 부인은 권대성(權大成)의 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장팔국(蔣八國)[1562~1633]은 어려서부터 총명...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건설 중인 공립 병원. 의성군 공립 치매 병원은 의성읍 철파리 일원 10만㎡ 부지에 들어서는 의성 건강 복지 타운 시설 중 하나이다.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은 2010년 10월 20일에 기공식을 갖고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2012년까지 민간 자본 179억 원을 포함 총 41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노인 복지 시설, 종합 복지관, 보건소, 한방 클리닉,...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치명(穉鳴), 호는 우은(愚隱)이다. 아버지는 신필교(申必敎), 어머니는 류경원(柳景源)의 딸 문화 유씨(文化 柳氏), 할아버지는 신광헌(申光憲), 증조할아버지는 신정표(申正標), 부인은 권정모(權正模)의 딸 숙인(淑人) 안동 권씨(安東 權氏), 후처는 조석교(曺錫敎)의 딸 숙인 창녕 조씨(昌寧 曺氏)로 알려져 있다. 신면횡...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다리. 치선 2교는 의성읍 치선리 지역에 설치된 교량으로, 남대천을 따라 나란히 만들어진 군도 1호선에 위치해 있다. 치선 2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치선 2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84.0m, 교량의 총 폭은 8.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7.0m, 지표면 또는 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다리. 치선 1교는 의성읍 치선리 지역에 건설된 교량으로, 남대천을 따라 나란히 달리는 군도 1호선에 건립된 다리이다. 치선 1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치선 1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64.0m, 교량의 총 폭은 6.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5.0m, 지표면 또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자치동(自致洞)과 선암동(仙岩洞)을 병합하여 치선동(致仙洞)이라 하였다. 자치동은 치선 1리에 해당하는데, 원래는 마을 뒷산 형상이 암꿩같이 생겼다고 하여 암컷 자(雌), 꿩 치(雉) 자를 따서 자치동(雌雉洞)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건너 보이는 앞산[오토산]의 산혈이 매의 모양을 하고 있어 꿩이 매한테 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치선 2리 주민들은 마을의 남대천 건너편 언덕 위[치선리 246번지]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치선리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수 없다. 제관 세 명을 선정하여 동제를 지내던 형식에서 변화하여 20년 전부터 동장과 반장...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봉수터. 치선리 봉수터 유적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 자치 마을 서편에 있는 높이 230m 산 정상부의 치선리 산성터 내에 있다. 봉수터는 산성 터 내에서도 북쪽으로 치우친 가장 높은 봉우리에 위치하며, 연대(烟臺)로 추정되는 석축 구조물이 일부 잔존하고 있다. 서쪽으로 팔성리 고성산 봉수터를 조망할 수 있으나, 치선리 봉수터의 봉화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신라 시대 산성 유적. 치선리 산성터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 자치 마을 서편에 있는 높이 230m의 산 정상에 위치해 있다. 성벽은 돌과 흙을 함께 사용하여 쌓았으며 전체 둘레는 700m 정도이지만 대부분 무너져 내렸다. 성내에는 치선리 봉수터가 있으며 성벽을 따라 곳곳에 성문지(城門址)나 망루지(望樓址)로 추정되는 곳도 있다. 정확한...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기곡과 가도의 이름을 따서 기도동이라 하였다. 가도는 약 400년 전 오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지형이 닭 머리 같다고 계두실[鷄頭谷]이라고 했으나 변음되어 가도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기곡은 치실이라고도 하는데, 치실은 약 500년 전에 의령 옥씨가 개설하면서 마을의 모양이 키[箕]처럼 생겼...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기곡과 가도의 이름을 따서 기도동이라 하였다. 가도는 약 400년 전 오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지형이 닭 머리 같다고 계두실[鷄頭谷]이라고 했으나 변음되어 가도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기곡은 치실이라고도 하는데, 치실은 약 500년 전에 의령 옥씨가 개설하면서 마을의 모양이 키[箕]처럼 생겼...
-
우리 민족은 개항 이래 근대를 달성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을 경주하면서 외세의 침탈을 막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한국 침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강제적 을사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한국은 일본의 실질적 식민지가 되었다. 우리 민족은 이러한 일제의 한국 침략에 맞서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일제의 한국 지배에 맞서 국내외에서 적극적·...
-
우리 민족은 개항 이래 근대를 달성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을 경주하면서 외세의 침탈을 막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한국 침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강제적 을사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한국은 일본의 실질적 식민지가 되었다. 우리 민족은 이러한 일제의 한국 침략에 맞서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일제의 한국 지배에 맞서 국내외에서 적극적·...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안동. 자는 치홍(穉弘)·경집(敬集), 호는 율원(栗園). 김기응(金箕應)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김낙진(金樂進)이고, 어머니는 진성 이씨(眞城 李氏)로 이종수(李宗洙)의 딸이며, 부인은 의성 김씨(義城 金氏) 김순(金淳)의 딸이다. 김양휴(金養休)[1777~1854]는 20대 이전까지는 친족 할아버지인 김종덕(金宗德)과 김종섭(金宗燮)에게 수학...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주민들끼리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받거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전통적인 협동 조직. 계(契)는 오래전부터 조상들이 상부상조, 친목 등의 목적으로 만든 전통 협동 조직으로 ‘계회’·‘회(會)’라고도 부른다. 경상북도 의성 지역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공통적으로 상여계, 수리계, 친목계 등이 조직되어 있다. 1. 상여계 상여계는 상여의 운반 및 장례에 관계되는...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서 명절놀이를 할 때 부르는 유희요. 「쾌지나 칭칭나네」는 추석이나 음력 정월 대보름 때 줄다리기 등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추석이나 음력 정월 대보름 줄다리기에서 자기편의 기세와 흥을 돋우거나 승리를 경축할 경우에 부른다. 또한 봄철 화전놀이 때 부녀자들이 솔밭 잔디 위에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