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490
한자 北扉故宅所藏典籍
영어공식명칭 Publications, Collection of Bukbi's House in Daesan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16[대산리 421]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미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북비 고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16[대산리 421]지도보기
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서부리 220]
성격 전적|고서|고문서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 마을 북비 고택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 일체.

[개설]

북비 고택(北扉古宅)은 영조 때 무신 이석문(李碩文)이 사도세자 참사 후 성주에 내려와 그를 애도하며 ‘북쪽[北]’으로 ‘사립문[扉]’을 내고 평생을 은거했다는 충절이 깃든 곳이다. 응와 종택, 대감댁으로도 불린다.

[형태/서지]

북비 고택 소장 전적은 현재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어 있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간한 기탁 목록집 『성산 이씨 응와 종택』에 의하면, 고서류 306종 511책, 교지와 간찰을 포함한 고문서 6,193점, 목판 및 현판 472점, 서화류 208점, 기타류 44점 등 모두 7,428점에 이른다.

[구성/내용]

고서류부터 살펴보면, 경사자집(經史子集) 분류에 따라 경부 29종 49책, 사부 89종 116책, 자부 28종 54책, 집부 160종 292책 등이 있으며, 경전류는 『상변통고(常變通攷)』, 『삼반예식(三班禮式)』,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 『일송(日誦)』, 『절요류삭(節要類刪)』, 『사례집요(四禮輯要)』, 『몽어유훈(蒙語類訓)』 등이 있고, 사서류에는 『국조잡록(國朝雜錄)』, 『융릉지(隆陵誌)』, 『실록청제명기(實錄廳題名記)』, 『탐라지초본(耽羅誌草本)』, 『포천지(布川誌)』, 『시헌서(時憲書)』, 『동소만록(桐巢漫錄)』 등이 있으며, 자서류에는 『근사록(近思錄)』, 『근사록강의(近思錄講義)』, 『심경발휘(心經發揮)』, 『이자수어(李子粹語)』, 『성경(性經)』, 『응와일기(凝窩日記)』, 『계약장정(契約章 程)』, 『중간노걸대(重刊老乞大)』, 『화경(花經)』 등이 있고, 문집류에는 『도명양선생서산초(陶冥兩先生簡牘抄)』, 『입재선생별집(立齋先生別集)』, 『정재집』, 『농서유고(農西遺稿)』, 『응와집(凝窩集)』, 『한주집』, 『호우만고』, 『풍악기행』, 『속유선지(續遊僊誌)』, 『임영록(臨瀛錄)』, 『기사회방운첩(己巳回榜韻帖)』, 『포수부군유고(浦府君遺稿)』, 『만귀정중수사실기(晩歸亭重修事實記)』, 『아송(雅誦)』 등이 있다.

고문서는 34종 6,193점이다. 절반 이상 간찰이 차지하며 총 4,860점이다. 그 외 유지(有旨) 9점, 교지(敎旨) 141점, 상소(上疏) 9점, 소지(所志) 9점, 명문(明文) 27점, 분재기(分財記) 4점, 완문(完文) 2점, 입안(立案) 2점, 통문(通文) 30점, 추수기(秋收記) 2점, 치부기(置簿記) 109점, 망기(望記) 21점, 시권(試券) 37점, 시문(詩文) 191점, 만사(輓辭) 312점, 제문(祭文) 223점, 행장(行狀) 36점, 사목(事目) 2점, 좌목(座目) 9점, 일기(日記) 26점, 계안(契案) 7점, 성책(成冊) 21점, 계문(啓文) 1점, 단자(單子) 6점, 첩정(牒呈) 1점, 수기(手記) 2점, 자문(尺文) 2점, 감결(甘結) 2점, 관문(關文) 6점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목판 32종 472점이 소장되어 있었다. 『응와집』 목판이 441점을 차지한다. 조석신(曺錫臣)이 자산부사 이원조의 부탁을 받고 쓴 ‘만산일폭루(萬山一瀑樓)’ 현판도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어 있으며, 현재 응와 종택에 소장되어 있는 현판으로는 이석문의 당호 ‘북비(北扉)’, 이동항(李東沆)이 쓴 ‘사미당(四美堂)’, 이규진의 당호 ‘농서(農棲)’, 이원조가 쓴 ‘응와(凝窩)’, ‘서료(書寮)’,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이 쓴 ‘호우(毫宇)’, 이원조가 쓴 ‘호우실명(毫宇室銘)’과 ‘경침와기(警枕窩記)’, 조석신이 쓴 ‘독서종자실(讀書種子室)’ 등이 있다.

서화류는 총 208점이 있으며, 그중 글씨와 탁본 자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무이구곡도(武夷九曲圖)」를 참조하여 이원조가 제작한 「무이도지(武夷圖誌)」, 이원조포천구곡의 경관을 화공에게 그리게 한 「포천도지(布川圖誌)」 등의 그림이 있고, 글씨로는 이원조가 아들에게 써 준 친필본 「시아첩(視兒帖)」, 조광진이 중국의 글씨를 수집해 아들 조석신에게 준 「집고첩(集古帖)」 등이 있다. 탁본은 「백월서운탑비명병서첩(白月栖雲塔碑銘序帖)」, 「동해비첩(東海碑帖)」, 「연비어약(鳶飛魚躍)」, 「광풍제월낙천안분(光風霽月樂天安分)」, 「동계유허비첩(桐溪遺墟碑帖)」 등이 유명하다.

[의의와 평가]

북비 고택 소장 전적은 성주 지역 퇴계학맥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응와 이원조와 관련된 것으로, 19세기 노론 중심의 세도 정치 속에서 그가 실천한 학문 지향, 성주 지역 사족들의 강학 활동, 그리고 19세기 남인 관료로서의 이원조의 위상을 두루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남명학파와 퇴계학파를 계승한 성주 지역 학자 관련 고문서들은 조선 후기 정치사뿐만 아니라, 18~19세기 영남 지역 유학자들의 학문적 실상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