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조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969
한자 李調元
영어공식명칭 Lee Jowon
이칭/별칭 청심당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문다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452년 - 이조원 함평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457년 - 이조원 원종공신 3등에 녹훈
활동 시기/일시 1466년 - 이조원 어사 부임
추모 시기/일시 1624년 - 이조원 수암서원에 배향
추모 시기/일시 1957년 - 이조원 유허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2002년 - 이조원 유적비 건립
수학지 남강정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01[원산동 268-4] 일대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수암서원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동령길 51[수양리 288]
사당|배향지 장흥고씨제각 황산사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01[원산동 268-4] 일대지도보기
사당|배향지 필문이선제부조묘 -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원산동 535-1]지도보기
성격 문무 관인
성별
본관 광산(光山)
대표 관직 함평현감|어사|원종공신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출신 문신.

[가계]

이조원(李調元)[?~?]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일영(李日英), 할아버지는 이홍길(李弘吉), 아버지는 이선제(李先齊)이다.

[활동 사항]

이조원의 출생과 사망, 활동에 관한 내용은 자세하지 않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1452년(문종 2)에 함평현감(咸平縣監)으로 부임하였으며, 1457년(세조 3)에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1466년(세조 12)에는 어사(御史)로 임명되면서 나주도회(羅州都會)의 호패(號牌)를 한양으로 올려 보내는 일을 맡았다. '청심당이선생유허비(淸心堂李先生遺墟碑)'에 따르면, 이조원은 성종(成宗) 때에 유일(遺逸)[학식과 인품을 갖추고 있으나 초야에 은거하고 있는 인재를 과거시험 없이 등용하는 제도]로 정랑(正郞), 집의(執義), 이조참의(吏曹參議)를 거쳐 경상도와 전라도의 안렴사(按廉使)를 역임하였다.

이조원은 아버지의 시묘를 마친 후 그 옆에 청심당(淸心堂)을 지어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였으며, 이조원고경명(高敬命)[1533~1592], 최형한(崔亨漢)[1446~1504] 등 여러 문인들과 청심당에 관한 시를 남겼다. 또한 이조원고경명의 할아버지인 고운(高雲)과 함께 계를 경영하였던 수계소(修契所)인 남강정(南康亭)[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서 여러 문인들과 학문과 자연을 즐겼다. 남강정에는 이시원이조원이 공동으로 축조하였던 경연대(慶筵臺)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 남강정 일대는 장흥고씨 문중에 기증되어 장흥고씨 제각 황산사가 들어서 있다.

[상훈과 추모]

1624년(인조 2)에 건립된 수암서원(秀巖書院)[지금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에 이조원을 비롯하여, 이선제, 이중호(李仲虎), 이발(李潑), 이길(李洁)이 함께 배향되었다. 1957년에 16세손 이계휴(李季休)가 장흥고씨 제각 황산사 일대에 '청심당이선생유허비'를 건립하였는데 비문은 서흥(瑞興) 김규태(金奎泰)가 지었다. 2002년에는 후손 이계휴, 이원휴, 이문한이 '청심당이선생유적비(淸心堂李先生遺蹟碑)'를 필문이선제부조묘[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 건립하였는데 기우하가 글을 쓰고, 17세손 이상휴가 글씨를 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