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72
한자 鄭淹
영어공식명칭 Jeong Eom
이칭/별칭 문중(文中),양촌(楊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30년연표보기 - 정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52년 - 정엄 사마시에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58년 - 정엄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62년 - 정엄 정언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3년 - 정엄 예조좌랑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3년 - 정엄 병조좌랑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3년 - 정엄 사간원정언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4년 - 정엄 사헌부지평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6년 - 정엄 병조정랑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6년 - 정엄 사헌부헌납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68년 - 정엄 장령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70년 - 정엄 수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71년 - 정엄『명종실록』편수관
활동 시기/일시 1571년 - 정엄 여산군수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73년 - 정엄 통정대부·남원부사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80년연표보기 - 정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11년 - 정엄 정려(旌閭)
묘소|단소 정엄 정려 - 광주광역시 남구 백양로 157-1[양림동 167-11]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광주(光州)
대표 관직 정언(正言)|사헌부헌납(司憲府獻納)|남원부사(南原府使)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출신의 문신.

[가계]

정엄(鄭淹)[1530~1580]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문중(文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진사 정계우(鄭繼禹), 할아버지는 처사 정윤적(鄭允勣)이다. 아버지는 사조참판(四曹參判)·팔도관찰사(八道觀察使)를 역임한 정만종(鄭萬鍾), 어머니는 권승금(權承金)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형은 정함(鄭涵), 정담(鄭湛)이다. 처는 김연(金堧)의 딸 김씨이며, 1남 4녀를 낳았다. 아들은 정대신(鄭大伸)이다.

[활동 사항]

정엄은 1530년(중종 25)에 태어났으며, 1552년 사마시 응시 때까지 전라도 광주에서 거주하였다. 1552년 사마시에서 생원 1등 장원을, 진사 3등 4위로 입격하였으며, 1558년 과거에서 을과 4위로 급제하였다. 정언(正言), 예조좌랑(禮曹佐郞), 병조좌랑(兵曹佐郞),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병조정랑(兵曹正郞), 사헌부헌납(司憲府獻納), 장령(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하였다. 여산군수, 남원부사(南原府使) 등의 지방 관직도 역임하였는데, 1574년에는 남원부사로 재임하면서 백성을 잘 돌보고 행정과 사무를 처리함에 폐단이 없어 포숭(褒崇)을 받았다.

정엄은 효성이 깊어 어머니의 병환을 지극하게 간호하였고, 어머니가 사망한 후 장례 절차에 어긋남이 없이 예를 다하였다. 그러나 슬픔이 지나쳐 병을 얻어 1580년 사망하였다.

[묘소]

『중암선생문집(重菴先生文集)』에 있는 정엄의 묘갈명에 의하면, 정엄은 광주 무등산(無等山)에 장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611년(광해군 3)에 정엄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고향 마을인 양림동에 정려를 세웠는데, 세월이 흘러 정려각이 퇴락하자 1975년 새로 석조로 건립하였다. 비신에는 ‘증가선대부·사헌부대사헌겸홍문관제학예문관제학동지경연춘추관의금부사오위도총관세자좌부빈·행통정대부·승정원동부승지겸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지제교·양촌정선생정려비(贈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弘文館提學藝文官提學同知經筵春秋館義禁府事五衛都摠管世子左副賓行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知製敎楊村鄭先生旌閭碑)’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