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679
한자 光州邑城北門拱北門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원소재지 광주읍성 북문 공북문 - 광주광역시 동구
성격 성문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던 조선 전기 광주읍성 북문.

[개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지도류와 문인들이 남긴 기록에 따르면, 광주읍성 북쪽은 공북문(拱北門)이라는 이름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었다. 광주읍성 북문의 의미는 '북쪽을 공손히 받든다.'는 뜻인데 북쪽은 임금을 상징한다.

[위치]

광주읍성 북문 공북문충장로3가 세칭 '충파[충장치안센터]' 앞에 있었다. 북문 밖에 있던 공북루(拱北樓)와 유림숲을 지나 비아장을 거쳐 장성을 통과하여 도성으로 이어졌다.

[변천]

광주읍성 북문을 일러 공북문이라고 한 데에는 이 길을 쭉 타고 나가면 서울에 갈 수 있다는 의미도 있었다. 공북문을 광주의 기점이라고 생각하는 전통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고, 오늘날 광주의 도로원표(道路元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국도나 지방도를 타고 오다가 '광주 30㎞'란 표시를 본다면 그 '광주'란 광주광역시청도, 옛 전라남도청 자리도 아닌, 바로 도로원표가 서 있는 지점을 가리킨다. 북문과 도로원표는 같은 축선에 있었다.

한편, 조선시대에 공북문 바깥인 지금의 충장로4가는 '시리(市里)'라고 불렀다. 시리란 '장터마을'이란 뜻이다. 광주에서 맨 처음 장이 열렸던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1896년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광주에 머문 지도군수 오횡묵이 남긴 기록에는 "큰 장이 공북루 앞에서 열렸다,"고 쓰여져 있다. 현대의 기준으로 말하면 중앙로에서 충장로4가로 들어가는 입구에 해당한다. 큰 장터는 북문 밖 시리 혹은 광주천변에서 열렸던 것이 훗날 광주천변으로 옮겨 큰 장과 작은 장이 되었다.

[형태]

광주읍성 북문 공북문의 모습은 다른 성문과 달리 철거 전에 촬영한 몇 장의 사진이 남아 있어 그 형태나 구조를 잘 알 수 있다. 북문은 2층 문루 형태이고, 정면 3칸 측면 3칸이었다. 가운데 칸에는 문을 달아매었고 그 좌우 칸에는 널판을 세워 막았다. 2층은 다락 형태의 마루를 깔고 지붕은 팔작지붕에 기와를 얹었다.

[현황]

광주읍성 북문 공북문 터에 가면 예전 공북문 터였음을 알리는 작은 표지석이 있다. 그리고 사거리 근처 인도에 큼직한 석재로 도로원표를 표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북문 공북문의 안과 밖의 변화상을 연관지어 볼 필요가 있다. 철거 전의 북문 공북문공북루 사진은 조선시대 광주목 관아 건축물의 역사적 가치를 고증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