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750 |
---|---|
한자 | 李日英 |
영어공식명칭 | Lee Ily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문다성 |
추모 시기/일시 | 1960년 - 이일영 위패를 모신 여재각 건립 |
---|---|
사당|배향지 | 여재각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만산마을
![]() |
성격 | 문관 |
성별 | 남 |
본관 | 광산 |
대표 관직 | 부사|중직대부 사복경 |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광주 지역 출신으로 부사, 중직대부 사복경 등을 역임한 문신.
이일영(李日英)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순백(李珣白), 할아버지는 이기(李奇), 아버지는 이홍길(李弘吉)이다. 외할아버지는 정기(鄭頎)로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부인은 선윤지(宣允祉) 딸이며.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아들은 이선수(李先修), 이선제(李先齊)가 있다. 증손으로는 이시원(李始元)과 이형원(李亨元)이 있다.
『광주읍지(光州邑誌)』에 따르면 이일영은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府使)가 되었다고 한다. 「이선제묘지(李先齊墓誌)」에 따르면 이일영은 중직대부 사복경(中直大夫司僕卿)에 올랐다.
1960년 광산이씨 문중에서는 만산(萬山)마을에 여재각(如在閣)을 건립하여 이일영, 이선제, 이시원 등 3대의 위패를 모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