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062 |
---|---|
한자 | 光州光山區精神健康福祉-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39-1[송정동 135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소영 |
설립 시기/일시 | 2007년 3월 - 광산구정신보건센터 설립 |
---|---|
이전 시기/일시 | 2010년 - 광산구정신보건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으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2012년 - 광산구정신건강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39-1[송정동 1352]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2012년 - 광산구정신보건센터에서 광산구정신건강센터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2013년 - 광산구정신건강센터에서 광산구정신건강증진센터로 개칭 |
개칭 시기/일시 | 2017년 - 광산구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로 개칭 |
최초 설립지 | 광산구정신보건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
주소 변경 이력 | 광산구정신보건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
주소 변경 이력 | 광산구정신건강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39-1[송정동 1352] |
현 소재지 |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39-1[송정동 1352] |
성격 | 복지 단체 |
설립자 |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광산구 |
전화 | 062-941-8567 |
홈페이지 | 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http://gsgmc.or.kr) |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정신 건강 지원 기관.
[개설]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개소 초반에는 보호 작업 위주로 활동을 하였으나 2010년 이후부터 아동·청소년과 다문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지역민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이 생기면서 주요 사업과 업무들이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설립 목적]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정신 보건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정신질환 예방 및 조기 발견, 상담과 치료 등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2007년 3월 광산구 소촌동에서 광산구정신보건센터로 개소하고 광주시립인광정신병원과 위탁 운영을 체결하였다. 2010년 광산구 송정동으로 이전하였다. 2012년 광산구정신건강센터로 명칭을 바꾸고 광산구 상무대로 239-1[송정동 1352]로 이전하였다. 2013년 광산구정신건강증진센터로 명칭을 바꾸었다. 2017년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로 개칭하고 같은 해 국립나주병원과 위탁 운영을 체결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만성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을 주요 대상으로 사업을 한다. 하지만 지역의 정신 보건 서비스 체계 구축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신질환자나 그 가족만이 아니라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지역민이 정신 건강과 관련한 상담을 받아 볼 수 있다. 별도로 아동이나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도 운영한다. 또한 지역 정신 보건 기관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까지 케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생명사랑지킴이를 꾸준히 양성하고 있다. 상담과 같은 정신 건강 증진 사업뿐 아니라 사례 관리나 매뉴얼 개발 사업, 교육 등 예방 사업도 실시하며,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식 개선 홍보와 같은 홍보 사업도 진행 중이다.
[현황]
2021년 12월 기준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국립나주병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조직은 센터장과 상임팀장 아래 성인정신건강관리팀, 생명사랑팀, 아동청소년정신건강팀 WEGO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률은 6.9%인 데 비해 광주광역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률은 4.4%로 비교적 낮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온라인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정신건강 상담을 보다 편히 느낄 수 있도록 친근한 캐릭터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광주광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보다 많은 사람이 손쉽게 센터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적극적으로 강구해 내고 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