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노부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12
한자 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老夫婦
영어공식명칭 An old couple who didn't recognize their son and tried to hurt him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혜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3년 4월 4일 - 「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노부부」 마을 주민 경석원[남, 86세]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9월 30일 - 「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노부부」 『동작구지』에 수록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아들|노부부
모티프 유형 아들 죽일뻔한 부모|욕심|재물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서 아들과 욕심 많은 노부부에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노부부」는 1993년에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1동 남성노인정에서 마을 주민 경석원[남, 86세]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4년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간행한 『동작구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일제 강점기 때 강원도 철원에 윤치란 사람이 아내와 아들 복동이와 함께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복동이는 밭농사로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여 일본 오사카로 갔다. 복동이는 오사카 공장에서 20년을 근무하여 큰 돈을 모았고, 그 후 뉴욕으로 가서 신기술을 배웠다. 마침내 성공하여 고향집을 찾은 복동이는 부모님을 기다리다 잠이 들었다. 밭 일을 마치고 돌아온 노부부는 돈다발이 가득한 가방을 베고 자는 신사를 발견하였다. 돈 욕심에 눈이 먼 아버지가 신사를 죽이려던 순간, 동네 영감이 찾아와 잠든 신사가 복동이라고 알려주었다. 동네 영감은 마을 초입에서 복동이와 인사를 한 사이였다. 만약 마을 영감의 설명이 없었다면 윤치는 오매불망 기다리던 아들을 죽였을 것이다.

[모티프 분석]

「아들을 몰라보고 해치려한 노부부」의 주요 모티프는 ‘아들 죽일뻔한 부모’, ‘욕심’, ‘재물’이다. 재물에 눈이 멀어 아들을 죽일 뻔한 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탐욕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