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1178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수현 |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옆을 흐르는 한강으로, 경기도 양평군에서부터 뗏목의 노를 저으며 오던 뗏꾼들이 부르던 노동요.
[개설]
「뗏목노래」는 경기도 양평군에서부터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으로 뗏목에 짐을 싣고 오던 뗏꾼들이 무사히 한강에 도착하기를 바라며 부르던 운수 노동요 성격의 민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뗏목노래」는 1993년 4월 5일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 마을 주민 곽정일[남, 64세]에게 채록한 것으로, 1994년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간행한 『동작구지』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뗏목노래」는 주로 4·4조로 이루어져 있다. ‘에 헤에 ~ 헤에 ~에’로 시작되는 전반부는 한강까지 무사히 도착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대하여, 후반부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사설의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내용]
에 헤에 ~ 헤에 ~ 에~ / 뗏목이여 ~ 닻을 서라 / 용산강은 노를 건너~ / 약사보살 비칠서라 뗏목이여 ~ 뗏목이여 / 어기어차 어기어차 / 뗏목이여 해가 넘어간다 ~ / 흙이 머리에 받칠세라 / 칠성이여 칠성이여 / 칠성단을 읃어보세~ / 들머리를 돌려라 / 노 ~ 자 노 ~ 자 / 뒷머리를 틀어라으 / 서녁바다 빛이 나고나 / 서울한강 닿고 보니 / 큰애기 네로구나 / 금수강산이 좋을시고 / 금수강산이 좋을시고 / 우리나라 대한민국 / 우리나라는 대한동국 / 금떨이가 묻힐서라 / 차 ~ 차리 내려가자 / 노자꾸나 돌머리야 / 저기저 들어가니 / 양평군에 들어서니 / 바우를 돌어서 흘러가거라 / 바우가 받치면 파산된다 / 돌 ~ 아 돌 ~ 아 / 부부장구가 돌아라 / 양산도자 도자기여 / 도자기 한 쌍을 캐구보니 / 그만두구 돌아왔다 / 돌돌돌 돌아라 / 양 ~ 산 합일은 / 부부일신이 돌아왔네 / 우리 집이 우리 아가씨 / 죽은 줄을 알건마는 / 너는 청춘이고 / 나는 백발 / 그렇게 죽을 줄은 / 나는 몰라 / 죽었구나 죽었구나 / 노량진이 비쳤구나 / 내 고장이 비쳤구나 / 어린 딸자식을 잘 길렀나 / 어린 자식은 밥 달래고 / 애비의 간장이 또 녹는다 / 에 ~ 루 돌돌돌 돌아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뗏목노래」는 주로 강원도와 함경도에서 부른 것이 많이 보고가 되고 있는데,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경우 한강이 옆에 흐르고 있어 뗏꾼들이 뗏목으로 다니면서 「뗏목노래」를 불렀던 것으로 여겨진다.
[현황]
서울특별시 동작구를 배경으로 한 「뗏목노래」의 사설에 ‘대한민국’, ‘대한동국’과 같은 어휘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20세기 전반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뗏목노래」는 강을 통하여 물건을 나르던 때에 무사히 목적지까지 도착하기를 바라며 부르던 노래 중 하나이다. 서울특별시 동작구를 배경으로 한 「뗏목노래」 역시도 이러한 뗏꾼들의 마음을 ‘바우를 돌어서 흘러가리라 / 바우가 받치면 파산된다’와 같은 사설을 통하여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용산강은 노를 건너’, ‘서울 한강 닿고 보니’, ‘노량진이 비쳤구나’와 같은 사설을 통하여 뗏목 위에 있던 뗏꾼들 눈에 비친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의 풍경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