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643
한자 朴正熙
영어공식명칭 Park Chunghee
이칭/별칭 다카키 마사오[高本正雄]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7년 11월 14일연표보기 - 박정희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3년 4월 - 박정희 구미공립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2년 4월 - 박정희 대구사범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37년 4월 - 박정희 문경공립보통학교 교사 부임
수학 시기/일시 1940년 4월 - 박정희 만주국육군군관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2년 4월 - 박정희 일본육군사관학교 특전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박정희 만주군 소위 임관
수학 시기/일시 1946년 9월 - 박정희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생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46년 12월 - 박정희 국방경비대 소위 임관
활동 시기/일시 1948년 11월 - 박정희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50년 6월 - 박정희 육군정보국 제1과장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5년 7월 - 박정희 제5사단장 부임
수학 시기/일시 1956년 - 박정희 육군대학 입교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박정희 제7사단장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59년 7월 - 박정희 육군 제6관구 사령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1월 21일 - 박정희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초대 사령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12월 15일 - 박정희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5월 16일 - 박정희 군사쿠데타 감행
활동 시기/일시 1961년 7월 3일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62년 3월 22일 - 박정희 대통령 권한대행
활동 시기/일시 1963년 10월 15일 - 박정희 제5대 대통령선거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7년 5월 3일 - 박정희 제6대 대통령선거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9년 7월 27일 - 박정희 삼선 개헌
활동 시기/일시 1971년 4월 27일 - 박정희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72년 10월 17일 - 박정희 10월 유신 선포
활동 시기/일시 1972년 12월 23일 - 박정희 제8대 대통령선거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78년 7월 6일 - 박정희 제9대 대통령선거 당선
몰년 시기/일시 1979년 10월 26일연표보기 - 박정희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9년 7월 26일 -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 설립
추모 시기/일시 2012년 7월 26일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개관
출생지 박정희 출생지 -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 11번지
거주|이주지 박정희 거주지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6가길 25
학교|수학지 구미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2동 210-5
학교|수학지 대구사범학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8
학교|수학지 조선경비사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1-1
학교|수학지 육군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924-1
활동지 문경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청운로 23
활동지 제5사단 - 경기도 연천군
활동지 제7사단 - 강원도 화천군
활동지 제6관구 사령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활동지 부산군수기지사령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09-1번지
활동지 제2군사령부 - 대구광역시
활동지 청와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지도보기
성격 정치인
성별
대표 경력 대통령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 정치인.

[개설]

박정희(朴正熙)[1917~1979]는 군사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제5~9대 대통령을 지낸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가계]

박정희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박성빈(朴成彬)의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백남의(白南義)이다.

[활동 사항]

박정희는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에서 태어나 구미공립보통학교와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문경공립보통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던 중 1940년 만주국육군군관학교[신경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만주국육군군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박정희는 일본육군사관학교 본과 3학년으로 특전 입학해 2년 간의 학업을 마쳤다. 그리고 1944년 만주군 소위로 임관하여 열하성 주둔 만주국군 보병 제8단에 배속되었다. 2차대전 말기 만주에서 활동하던 박정희는 종전 후 1946년 5월 부산으로 귀국하였다.

그리고 1946년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생으로 입교해 그해 12월 소위로 임관하였다. 박정희는 춘천 8연대에서 군 생활을 하던 중 1948년 11월 여순사건의 여파로 군부내 좌익 숙청작업이 진행되자 남로당 관련 혐의로 체포되었다.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은 뒤 10년형으로 감형되고 형 집행정지로 석방되었지만 군에서 강제 예편당했다. 이후 6·25전쟁이 일어나자 박정희는 소령으로 현역에 복귀해 정보국 제1과장에 임명되었다.

1955년 제5사단장으로 부임하였고 2년 후인 1957년에는 제7단장이 되었다. 1958년 3월 소장으로 진급하고 육군 제6관구 사령관을 거쳐 1960년 1월 21일 부산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부산에서 4·19혁명을 겪은 후 박정희는 그해 12월 대구에 있는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부임하였다.

이미 부산에서 쿠데타 모의를 한 바 있는 박정희는 1961년 4·19혁명 1주년을 계기로 군사정변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 무산되었고, 5월 16일 새벽 드디어 쿠데타를 감행하였다.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는 7월 3일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설치하고 의장에 취임하였다. 그해 8월부터 민정 이양 문제로 미국 및 야당 세력과 갈등을 빚던 박정희는 1963년 8월 육군대장으로 전역하였다. 그리고 그해 10월 제5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해 야당 후보인 윤보선을 꺾고 당선되었다. 임기 중 한일회담 타결과 베트남 파병을 단행한 박정희는 1967년 5월 3일 실시된 제6대 대통령선거에서 재선되었다.

그리고 1969년 들어 삼선개헌을 추진하였는데, 이 개헌안은 여당인 공화당 의원들에 의해 9월 14일 변칙적으로 통과되었다. 1971년 4월 27일 제7대 대통령선거에서 야당 후보인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박정희는 19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곧이어 10월 17일 계엄령을 선포해 헌법 기능을 정지시키고 의회를 해산했다. 또한 10일 뒤인 10월 27일 헌법개정안을 발표하였는데, 11월 21일 이 개헌안이 국민투표를 통과함으로써 유신체제가 성립되었다. 박정희는 11월 23일 유신헌법에 따라 실시된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에서 임기 6년의 제8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그리고 1978년 7월 6일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제9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73년 말부터 유신체제 반대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상황은 위기 국면으로 치달았다. 미국과의 관계 역시 악화되었다. 박정희는 긴급조치권을 발동해 위기를 타개하려 했지만 유신철폐운동은 저변을 확대하며 더욱 강력하게 전개되었다. 1979년 10월 16일 부마민주항쟁이 발생하자 박정희는 비상계엄령과 위수령을 선포하고 무력 진압에 나섰다.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당했다. 일본군 장교로 복무한 이력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저술 및 작품]

『지도자도(指導者道) : 혁명과정에 처하여』[국가재건최고회의, 1961], 『우리 민족의 나갈 길 : 사회재건의 이념』[동아출판사, 1962], 『국가와 혁명과 나』[향문사, 1963], 『조국 근대화의 지표』[고려서적, 1967], 『민족의 저력』[광명출판사, 1971], 『민족 중흥의 길』[광명출판사, 1978] 등이 있다.

[묘소]

1979년 11월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원수묘역에 안장되었다. 박정희대통령 묘역은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1974년 서거한 후 국립서울현충원에 먼저 안장되면서 조성되었다.

[상훈과 추모]

1979년 10월 26일 서거 후 국장이 치러졌다. 1999년 7월 26일 박정희대통령 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고, 2013년 5월 9일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2년 박정희대통령기념관이 개관하였으며, 생가는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신당동 가옥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매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