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0515 |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양녕로 167[상도동 산 65-4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병훈 |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지덕사와 양녕대군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
[개설]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지덕사(至德祠)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을 모시는 사당이고, 그 옆에 양녕대군의 묘가 있다. 지덕사에서는 1년에 총 6차례 제사를 올리고 있다. 1월 1일[양력]과 8월 15일[음력]에는 지덕사에서 신년차례(新年茶禮)와 추석차례(秋夕茶禮)를 지내며, 6월 29일[음력]과 9월 6일[음력]에는 지덕사에서 부부인기신제(府夫人忌晨祭)와 대군기신제(大君忌晨祭)를 지내며, 4월 5일[양력]과 10월 1일[음력]에는 묘소에서 청명제(淸明祭)와 대군시제(大君時祭)를 올린다. 이중 양녕대군과 그 부부인(府夫人)의 기신제는 저녁 11시 반쯤에 올려 자정을 넘기게 지내며, 그 외의 제사는 오전에 올린다. 제사 때 올리는 음식은, 차례 때는 간단하게 주과포(酒果脯)와 적(炙)으로 올리며,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도 함께 올린다. 이외의 제사에는 진메. 나물, 탕, 국 등이 추가된다.
[신당/신체의 형태]
지덕사는 3칸의 사당으로 되어 있으며, 지덕사 앞 마당 좌우측으로 제기고와 아랫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사당 뒤편으로 양녕대군과 정경부인 광산 김씨를 합장한 묘 1기가 자리잡고 있다.
[절차]
참신(參神), 강신(降神),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첨작례(添酌禮), 유식(侑食), 사신례(辭神禮)의 순서로 진행되며, 제일 마지막에 축문을 불사르는 예(禮)가 있다. 차례의 경우, 축문은 읽지 않고 술 한 잔만 올리는 무축단헌(無祝單獻)으로 간단하게 치뤄진다.
[축문]
제향의 축문을 몇 가지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대군기신축(大君忌晨祝)
유세차○○○월○○○○○일○○이십대손○ 감소고우(維歲次○○○月○○○○○日○○二十代孫○ 敢昭告于)
현이십대조고 양녕대군 증시 강정공부군(顯二十代祖考 讓寧大君 贈諡 剛靖公府君)
현이십대조비 수성부부인 광산김씨 세서천역(顯二十代祖妣 隋城府夫人 光山金氏 歲序遷易)
현이십대조고 양녕대군 증시 강정공부군 휘일부림 추원감시(顯二十代祖考 讓寧大君 贈諡 剛靖公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부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향(饗)
청명제축(淸明祭祝)
유세차○○○월○○○○○일○○이십대손○ 감소고우(維歲次○○○月○○○○○日○○二十代孫○ 敢昭告于)
현이십대조고 양녕대군 증시 강정공부군(顯二十代祖考 讓寧大君 贈諡 剛靖公府君)
현이십대조비 수성부부인 광산김씨지묘 기서류역 우로기유(顯二十代祖妣 隋城府夫人 光山金氏之墓 氣序流易 雨露旣濡)
첨소봉영 부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尙(瞻掃封塋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饗)
시제축(時祭祝)
유세차○○○월○○○○○일○○이십대손○ 감소고우(維歲次○○○月○○○○○日○○二十代孫○ 敢昭告于)
현이십대조고 양녕대군 증시 강정공부군(顯二十代祖考 讓寧大君 贈諡 剛靖公府君)
현이십대조비 수성부부인 광산김씨지묘 기서류역 상로기강(顯二十代祖妣 隋城府夫人 光山金氏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첨소봉영 부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瞻掃封塋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饗)
[부대 행사]
지덕사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소위 아랫사당에서 4대봉사(四代奉祀)를 하는데, 무축단헌(無祝單獻)으로 1년에 8차례 행한다. 정월과 추석의 차례 때에는 지덕사에서 우선 지낸 뒤 아랫사당에서 지낸다.
[현황]
정월 차례, 청명제, 시제의 경우 200~300명에서 많을 때는 700여 명이 참석한다. 이외의 제사는 종가 위주로 20명 내외로 행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