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0458 |
---|---|
한자 | - |
영어공식명칭 | Jar coffin |
이칭/별칭 | 독무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김선주 |
제작 시기/일시 | 3~5세기 - 이음독널 제작 |
---|---|
출토|발굴 시기/일시 | 1999년 - 이음독널 출토 |
현 소장처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상도동 511] |
출토|발견지 | 이음독널 출토지 - 경기도 화성시 왕림리 |
성격 | 무덤 |
재질 | 토제 |
크기(높이,길이,너비) | 좌측 30.3㎝×23㎝×23㎝|우측 37.0㎝×25㎝×25㎝ |
소유자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관리자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있는 삼국시대의 널로 사용한 항아리.
[개설]
긴 항아리 토기 2개를 아가리 부분에서 서로 맞붙도록 연결한 이음독널[합구식옹관(合口式甕棺)]이다. 널로 사용한 토기는 한쪽은 적갈색이며 다른 한쪽은 회갈색의 연질 토기이다.
1999년 경기도 화성시 왕림리에서 출토되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상도동 511]에 소재한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형태]
이음독널은 계란 형태의 긴 항아리 모양의 토기 2개를 맞붙인 형태이다. 좌측 독널의 크기는 30.3㎝×23㎝×23㎝이고 우측 독널의 크기는 37.0㎝×25㎝×25㎝이다.
몸통에는 노끈무늬[승석문(繩蓆文)]가 새겨져 있고, 바닥 주위에는 문살무늬[격자문(格子文)]가 베풀어져 있다.
[특징]
이음독널과 같은 토기는 백제 지역 집자리 부뚜막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소아나 유아의 주검을 안치하는 용도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별도의 부장 유물은 없었다.
[의의와 평가]
1999년 경기도 화성시 왕림리에서 발굴 조사를 통해 수습한 유물이며, 3세기에서 5세기 경 사용된 유물로 평가된다. 삼국시대 중 백제의 몽촌토성 등지에서 출토되는 토기와 비교 검토할 수 있는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