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경서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0910
한자 硏經書院
영어공식명칭 Yeongyeong Confucian Academyl
이칭/별칭 서원연경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송은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65년연표보기 - 연경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71년 - 연경서원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602년 - 연경서원 개축
원소재지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지도보기
성격 서원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었던 조선 전기에 건립된 사액서원이자 대구지역 최초 서원.

[개설]

연경서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 3인과 함께 별도로 향현사(鄕賢祠)를 세워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1532~1585]과 매암(梅巖) 이숙량(李淑樑)[1519~1592]을 제향했던 서원이다. 연경서원은 낙성을 기준으로 1565년(명종 20)에 창건되어 대구지역 유풍(儒風)과 문풍(文風)을 이끈 대구의 수서원(首書院)이었다. 연경서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사액서원이자 대구지역 최초의 서원, 조선 시대 대구 유학의 중심, 퇴계 이황의 서원십영(書院十詠)에 등장하는 서원, 강학을 목적으로 세워진 서원, 퇴계 이황의 제자인 이숙량과 전경창이 서원창건의 중심인물이었다는 점 등이다.

[위치]

연경서원이 있었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매판소(埋板所)를 비롯한 대략적인 터는 확인된다.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산 80번지에는 ‘화암(畵巖)’이라는 큰 바위절벽이 있고 그 곁에 사찰인 대원사가 있다. 대원사가 자리한 동네를 ‘서원연경’이라 하는데 서원연경 제일 안쪽에 연경서원이 있었다.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파계교 교차로에서 무태 방향으로 1.2㎞쯤 가면 우측으로 서원연경마을이 있고 그 안쪽에 연경서원 유지가 있다. 지금은 이 일대가 택지개발 중에 있다.

[변천]

연경서원은 낙성을 기준으로 1565년(명종 20)에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2년(선조 35) 중건했다. 1613년(광해군 5) 사당을 건립하고 이황을 제향했다. 1622년(광해군 14)에 정구를, 1706년(숙종 32)에 정경세를 제향하였다. 한편 1635년(인조 13)에는 별도로 향현사를 건립하여 전경창, 이숙량을 제향하였다. 연경서원은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어 현재까지 미복원 상태이다.

[형태]

연경서원 강당은 인지당(仁智堂)으로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 방은 수방재(收放齋) 서쪽 방은 경타재(警惰齋)였다. 동재는 보인재(輔仁齋), 서재는 시습재(時習齋), 정문은 초현문(招賢門)이었다. 기타 동몽재(童蒙齋), 포주(庖廚), 애련당(愛蓮堂), 류정(柳亭), 사당, 향현사, 관서루(觀逝樓), 육수청(育秀廳) 등의 건물이 있었다.

[현황]

연경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사라져 지금까지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대구지역 유림단체를 중심으로 연경서원 복원운동을 추진 중에 있다.

[의의와 평가]

연경서원은 대구지역 5개 사액서원 중 한 곳이자, 대구지역 최초의 서원이었다. 동시에 조선 시대 대구지역의 유풍, 문풍을 이끈 대구의 수서원이었다. 따라서 연경서원은 대구지역의 유학사는 물론 인물, 문중, 전통, 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