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964 |
---|---|
한자 | 宣敎師-住宅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동산동 424]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정은 |
건립 시기/일시 | 1906~1910년경 - 선교사스윗즈주택 건립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9년 6월 15일![]()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9년 - 선교사스윗즈주택 선교박물관으로 개원 |
현 소재지 | 선교사스윗즈주택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동산동 424]![]() |
원소재지 | 선교사스윗즈주택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동산동 424] |
성격 | 주거 시설 |
양식 | 벽돌조|한·양 절충식 |
정면 칸수 | 지상 2층|지하 1층 |
측면 칸수 | 342㎡[연면적] |
소유자 | 계명대학교 |
관리자 | 동산병원 시설계 |
문화재 지정 번호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선교사 스윗즈가 살던 개항기 주택.
선교사스윗즈주택은 선교사(宣敎師) 스윗즈(M. M. Swizer), 핸드슨(H. H. Henderson), 아키베드 캠벨(Archibad Campbel) 등이 거주한 집이다. 1906~1910년경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건립되었다. 1989년 6월 1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선교사스윗즈주택은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동산동 424]에 있다.
1981년 8월 동산병원에서 인수하여 사택으로 사용하면서 한식 기와를 함석으로 교체하고, 내부 마감재 일부를 교체하였다.
선교사스윗즈주택은 동산 위에 서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붉은 벽돌조 2층의 한·양 절충식 건물이다. 연면적은 342㎡이다. 평면 구성은 남쪽 우측부에 현관으로 이어지는 베란다를 두고, 현관 홀을 통하여 거실과 응접실을 직접 연결하였다. 거실을 중심으로 침실, 계단실, 욕실, 부엌, 식당 등을 배치하였다. 외관은 안산암의 성돌[대구읍성을 철거한 돌]을 바른층 쌓기 한 기초 위에 붉은 벽돌을 쌓고, 층간을 코니스로 장식하였다. 지붕은 한식기와를 이은 박공지붕으로 남쪽과 북쪽이 쇠드(Shed)형이었으나 함석으로 개선되었다.
1999년 10월 1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개원 100주년을 맞이하여 선교박물관으로 개원하였다. 동산병원 시설계에서 관리하고 있다.
선교사스윗즈주택은 미국인들의 주거 양식과 생활양식, 한·양 절충의 건축 수법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대구의 개신교 선교사와 당시의 건축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