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 선 눈 삭히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237
영어공식명칭 Sam Seon Nun Sakhineun Sori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11년 - 「삼 선 눈 삭히는 소리」 안창원, 안주희, 김금옥, 최명하에게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삼 선 눈 삭히는 소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수록
채록지 이평10리 마을회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금학로116번길 12-9[이평리 572-48]지도보기
채록지 잠곡3리 마을회관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도덕동길 13[잠곡리 570-6]지도보기
채록지 주홍집 자택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자등리 1779 지도보기
가창권역 철원군 - 강원도 철원군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벽사 의식요|축질요
형식 구분 독창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삼눈이 생겼을 때 부르던 의식요.

[개설]

「삼 선 눈 삭히는 소리」는 철원 지역에 전승되는 의식요이다. 안질의 일종인 삼눈[눈망울에 삼이 생기어 몹시 쑤시고, 눈알이 붉어지는 병]이 생겼을 때 이를 없애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채록/수집 상황]

「삼 선 눈 삭히는 소리」는 2011년에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의 이평10리 마을회관에서 안창원,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의 잠곡3리 마을회관에서 안주희와 김금옥, 철원군 서면 자등리의 주홍집의 집에서 최명하에게서 채록하였다. 2016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편에 세 편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철원 지역에서 채록된 「삼 선 눈 삭히는 소리」는 세 편이 있다. 대개 삼눈이 생겼을 때 치료 행위를 하면서 독창으로 부르는데, 노랫말 구성은 세 편 모두 다르다.

[내용]

철원 지역의 「삼 선 눈 삭히는 소리」는 세 편이 정리되었는데, 먼저 근남면 잠곡리의 소리인 「사람 눈에도 소리」는 다음과 같다.

“팥에나 삼눈이 스지/ 사람의 눈에도 삼이 서느냐”

동송읍 이평리에서 채록된 소리는 「건선명 소리」인데, 다음과 같이 동일한 내용을 세 번 반복하여서 왼다.

“건선명 삼십오세/ 금년신수 불행하야/ 좌목에 얼삼석삼/ 금일 즉일기/ 천상천하 태평춘/ 사방 우일사// 건선명 삼십오세/ 금년신수 불행하야/ 좌목에 얼삼적삼/ 금일 즉일기/ 천상천하 태평춘/ 사방 우일사// 건선명 삼십오세/ 금년신수 불행하야/ 좌목에 얼삼석삼/ 금일 즉일기/ 천상천하 태평춘/ 사방 우일사// 이 시각에 너 물러나지 않으면 이 바늘로 안 뽑알 터니 당장 물러나거라”

그리고 서면 자등리의 소리는 「삼 잡자 소리」이다. 다음처럼 “삼 잡자”를 반복하여 사설을 구성한다.

“삼 잡자/ 삼 잡자/ 눈에 삼 잡자”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잠곡리 제보자는 삼눈이 발생하면 해가 뜰 무렵 그릇에 물을 담아 놓고 종이에 사람 얼굴을 그린 후, 팥을 물에 떨구면서 「사람 눈에도 소리」를 부른다고 한다. “팥에나 삼눈이 스지/ 사람의 눈에도 삼이 서느냐” 이후에는 바늘을 사람 그림의 눈에 꽂는다. 이평리 제보자는 해가 뜰 무렵에 종이에 사람 얼굴을 그리고 「건선명 소리」를 부른 후, 바늘로 삼이 선 쪽의 눈 그림을 찌른다고 한다. 자등리 제보자는 해 뜰 무렵 그릇에 물을 떠서 해를 바라보며 실을 꿴 바늘과 빨간 팥을 함께 눈에 대고 비빈 후 「삼 잡자 소리」를 부른다고 한다. 그런 뒤 팥으로 눈을 훑어서 물에 떨어뜨린다고 한다. 이들은 소리만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 행위와 함께 전승되고 있다.

[현황]

철원 지역의 「삼 선 눈 삭히는 소리」근남면, 동송읍, 서면 등에서 「사람 눈에도 소리」, 「건선명 소리」, 「삼 잡자 소리」 등 세 편의 소리가 정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철원 지역의 「삼 선 눈 삭히는 소리」 세 편과 서로 다른 치료 행위를 통하여 다양한 내용이 전승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