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034
한자 土壤
영어공식명칭 Soil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광희

[정의]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분해되어 생성된 흙.

[개설]

토양은 암석이나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기간 침식과 풍화를 받아 생성된, 땅을 구성하는 물질이며, 흙이라고도 한다. 토양은 입자의 크기나 성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 그리고 작물 재배 적성 등이 토양 분류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철원 지역에는 암쇄토, 적황색토, 충적토, 회색토 등이 분포하며 현무암 충적층을 모재로 하여 발달한 ‘철원통’이 나타난다.

[토양 분포]

철원 지역은 다양한 암석과 지층이 분포하고 산지와 평야, 하천 등 다양한 지형 환경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토양이 분포하고 있다. 가장 광역으로 나타나는 토양은 산지를 중심으로 한 암쇄토이며, 심도는 얕은 편이다. 철원 지역의 암쇄토는 산지를 구성하는 변성암, 화강암, 화산암에서 비롯된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동서의 편차가 남북에 비하여 크다. 가장 면적이 넓은 것은 화강암이 주로 분포하는 동부의 산악지대로서 배수는 매우 양호하며, 사양질 내지 식양질로 구성되어 있다. 화천과의 경계부에서는 변성 퇴적암을 모재로 한 암쇄토가 나타나는데, 토양의 성격은 동부 산악지대와 유사하다. 금학산, 용정봉 등 서부 지역의 암쇄토는 중성 내지 염기성의 화산암에서 발달한 것으로 배수가 매우 양호하고, 사양질 또는 식양질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원평야한탄강 주변에서는 현무암을 모재로 한 적황색 내지 회색토가 나타난다. 이 토양을 가리켜 ‘철원통’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따라서 적황색토는 용암대지가 발달한 철원의 중서부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산지 토양에 비하여 토양심도가 깊은 편이고, 배수는 양호한 편이며, 식질 내지 식양질로 구성되어 있다.

김화의 화강과, 화강의 지류들 주변에서는 하천의 범람에 의하여 형성된 충적토가 발달하여 있으며, 산지하천에는 회색토 내지 충적토, 암쇄토 내지 적황색토가 나타난다. 화강과 그 지류 하천에서 나타나는 충적토는 배수가 약간 불량하며, 토성은 미사식양질 내지 식질이다. 이에 비하여 산악 곡간지에서 나타나는 회색토 및 충적토는 식양질(埴壤質) 내지 미사식양질(微砂埴壤質)의 토성을 보이며, 배수는 약간 양호하거나 불량한 편이다. 철원 지역에서 토양심도는 한탄강화강이 합류하는 도창리, 율목리 일대의 민들레벌과, 사곡천화강이 만나는 운장분지 일대에서 가장 깊게 나타난다.

[철원통]

철원통은 현무암 충적층을 모재로 하여, 주로 평탄지에 분포하고 있는 회색토로서 철원을 대표하는 토양통의 이름이다. 철원통은 미국 토양 분류학[Soil Taxonomy]의 분류에 의하면 Fine,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Typic Endoaquepts로 분류된다. 장파통, 파주통, 연천통 및 동송통 등과 서로 인접되어 있다. 실트식양질 토양으로 토양 배수가 약간 불량하고 유효 토심이 30~50㎝로 보통이다. 표토는 회색의 실트질 식양토로서 황갈색 반문(斑紋)이 있고 심토는 회색의 실트질식토로서 황갈색 반문이 있으며 기층은 회색의 실트질 식토 혹은 실트질 식양토로서 황갈색 반문이 있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장흥초등학교 남서쪽 500m 지점에 철원통의 대표 분석 지점이 있다. 자연 비옥도는 높고 유기물 함량은 1.0% 이하로 적으며 pH 5.1~6.0의 산성이며, 양이온교환용량[특정 수소 이온 지수(㏗)에서 일정한 양의 토양에 전기적 인력으로 인하여 다른 양이온과 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붙어 있는 양이온의 총량]이 비교적 높다. 철원통은 주로 논으로 이용되며, 철원 주변에 국한되어 분포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볼 때 매우 작은 면적으로 분포한다.

[참고문헌]
  • 『철원향토지』4 (철원문화원, 2000)
  • 류순호, 『토양사전』(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http://www.wamis.go.kr)
  • 철원군(http://www.cwg.go.kr)
  • 흙토람(http://soil.rd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