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여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527
한자 東輿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56년(철종 7년)연표보기 - 『동여도』 제작 시작
저술 시기/일시 1861년(철종 12년)연표보기 - 『동여도』 제작 완료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2월 07일연표보기 - 동여도(2002) 보물 제1358-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동여도(2008) 보물 제1358-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여도(2002)|동여도(2008) 보물 재지정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신림동, 서울대학교)
성격 고지도
저자 김정호(金正浩)[추정]
권책 23첩
규격 세로 약 7m|가로 약 3.2m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9세기 철종 연간에 제작된 청송도호부진보현이 수록된 전국지도.

[개설]

『동여도(東輿圖)』는 총 23첩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국지도이다. 지도에는 설명과 함께 약 1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데, 이 숫자는 현존하고 있는 전도(全圖)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다. 또 지도에는 조선 후기의 상황을 보여 주는 기본적인 인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청송도호부진보현은 16첩에 수록되어 있다. 보물 제1358-1호, 제1358-2호 두 건이 지정되어 있다.

[저자]

김정호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동여도지(東輿圖地)』 제2책에 실려 있는 서문에서 김정호는 지도와 지지를 만들고 이를 『동여도지』라고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정호가 말한 지도는 『동여도』이고 지지는 『동여도지』로 생각된다.

두 번째, 신헌(申櫶)[1810~1884]은 『대동방여도(大東方輿圖)』 서문에서 “김백원(金百源)에게 위촉하여 『동여도』를 만들게 했다”고 언급하였다. 백원은 김정호의 자(字)이니 김백원은 바로 김정호를 가리키며 자연히 김정호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세 번째, 『동여도』와『대동여지도』에 실려 있는 지도표가 독특하며 매우 닮았다는 사실이다. 네 번째, 『동여도』 제13첩 여백란에 표기되어 있는 인릉(仁陵)의 위치가 헌릉우강(獻陵右岡)으로 되어 있다. 인릉은 순조의 왕릉인데 1856년(철종 7) 2월에 헌릉 우측으로 옮겼다. 그러므로 『동여도』는 1856년 2월 이후에 제작된 것이고 『대동여지도』를 초간한 것은 1861년(철종 12)인데 이 시기에 이렇게 방대하고 상세한 지도를 만들 수 있는 인물은 김정호밖에 없다.

[편찬/간행 경위]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판각하기 위해 사전 제작한 선행지도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동여도』는 세로 약 7m, 가로 약 3.2m에 달하는 전국지도로 총 23첩으로 편성되어 있다. 채색 필사본 회화식 지도로 1첩에는 1권에서 22권까지 각 권마다 읍치가 수록되어 있는 군현의 목록을 정리해 놓아 지도 위에서 각 군현의 위치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2첩부터 23첩까지는 조선의 남북을 120리[약 48㎞] 간격의 22권으로 나눈 뒤 각 권은 동서 80리[약 32㎞] 간격으로 1면을 구성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병풍식으로 만들어져 있다. 각 권 1면의 크기를 단위로 환산하면 남북은 약 30㎝이고 동서는 약 20㎝가 되며, 22권의 남북을 모두 합하면 약 7m에 이르는 대형 지도가 된다.

[구성/내용]

『동여도』는 조선의 전도(全圖)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 간략하게 표시 되어 있다. 먼저 청송도호부를 살펴보면 읍치는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원형 모양으로 표시하여 방광산(放光山) 아래에 위치해 있다. 산맥은 ‘∧’형 모양을 중첩하여 산줄기를 그려넣었는데 방광산월외산(月外山)이 읍치를 감싸고 있는 형세이다. 하천은 청색으로 채색하여 나타냈고 남천(南川)이 읍치를 지나 흘러가고 있다. 도로망은 적색 실선을 이용하여 나타냈는데 10리[약 4㎞] 간격으로 점을 찍어 거리를 쉽게 측정할 수 있게 한 점이 특징이며 진보와 안동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진보현을 보면 읍치는 황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을 한 원형 모양으로 묘사되었고, 산명(山名)은 남각산(南角山) 외에는 없다. 하천은 청색으로 표현했는데 읍치를 기준으로 위로는 신한천(新漢川)이, 아래는 호명천(虎鳴川)이 흘러 지나간다. 신법사(新法寺)가 기록되어 있고 남각산 줄기에는 적색 삼각형의 봉수(烽燧)가 표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동여도』『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와 더불어 김정호가 제작한 3대 지도로서 역사적인 가치가 높으며, 전통 시대에 만들어진 지도 중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실용적이며 정확한 지도이므로 학술적인 의미도 크다. 이로 인해 2002년 12월 7일 보물 제1358-1호,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358-2호로 2건이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각각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동여도』는 19세기 청송 지역과 다른 지역과의 경계와 교통 등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