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64
한자 簡帖癸卯司馬同榜契會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간첩(계묘사마동방계회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6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간첩(계묘사마동방계회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제작 시기/일시 1602년연표보기 - 간첩(계묘사마동방계회첩) 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간첩(계묘사마동방계회첩)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계회도]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서화첩.

[개설]

『계묘사마동방계회첩(癸卯司馬同榜契會帖)』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총독(總督)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유물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계묘사마동방계회첩』은 그 중 하나이다.

[형태 및 구성]

『계묘사마동방계회첩』은 1첩, 1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46㎝×31㎝이며 상태는 양호하다. 서첩은 당시 계회(契會)의 장면을 그린 「계회도(契會圖)」 1점과 참석자들의 명단[座目], 당시 경상도 관찰사로 재직하던 이시발(李時發)[1569~1626]이 지은 발문(跋文)을 싣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계회(契會)’는 관아에 재직하는 사대부들이나 과거에 합격한 동기생[同榜]들이 특정한 날에 한 장소에 모여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인데 이때 세월이 흐른 후에도 서로 잊지 말자는 회상 자료로 삼기 위해 그날의 모임 장면을 그림과 함께 기록으로 남겼다. 그 그림을 계도(契圖)·회음도(會飮圖), 또는 계회도(契會圖)라고 부르는데 오늘날의 기념 사진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계회도」는 계회의 참가한 인원만큼 제작하여 각각 나누어 가졌으며 자자손손 보관하도록 하였다. 「계회도」는 당시 사대부들의 관직 생활을 통한 동료 의식과 문사적(文士的) 풍류 의식(風流意識)을 엿볼 수 있다. 또 좌목[참가자 명단]에 기록된 참석자들의 인적사항을 통해 제작 연대도 추론이 가능하다. 때문에 기년작[제작연대 표기된 작품]이 드문 조선 시대 초·중기의 회화사 연구에 「계회도」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고 하겠다.

『계묘사마동방계회첩』은 1573년에 치른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던 사람들이 30년이 지난 후에 안동도호부 관아에서 계회를 개최하고 그 기록을 남긴 것이다. 1573년의 사마시에서는 모두 200명이 합격하였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후의 계회에는 모두 15인만이 참석하였다. 그림에는 17인이 참석했던 것으로 나오는데 아마도 경상도 관찰사였던 이시발과 그 관속 1인이 참여하지 않았을까 생각되어진다.

이시발의 발문에 따르면 이 모임은 당시 안동도호부사로 있던 홍이상(洪履祥)[1549~1615]의 제안으로 1602년 10월 16일에 안동도호부에서 개최되었다. 참석자들은 현직에 있던 사람이 7명, 관직이 없던 사람 8명이 모였으며 주로 경상도 출신들이 모였지만 멀리 전라도와 서울에서도 참석한 사람이 있었다.

당시 이 모임에 이시발에 참석하게 된 것은 그가 경상도 관찰사로 재직하고 있었던 것도 있었지만 그의 부친 이대건(李大建)[1550~?] 또한 계유년 사마시에서 진사(進士) 2등, 7위에 합격한 점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유로 이시발은 부친과 함께 과거에 합격한 동기들의 계회를 후원하고 그 모임의 기록을 남기는 기록물에 ‘발문’을 썼던 것으로 추정된다.

『계묘사마동방계회첩』은 회화사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계회도」에는 ‘미법준(米法峻)’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미법준은 산을 표현할 때 쌀알 모양의 ‘먹점 찍기[米法峻]’로 그리는 것을 일컫는다. 이는 중국 남종 문인화(南宗文人畵)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 미법준이 도입된 시기는 일본과 비슷한 시기인 17세기 중반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계묘사마동방계회첩』이 작성된 시기가 1602년이므로 적어도 조선에 미법준이 들어온 시기를 17세기 초 이상으로 소급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