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026 |
---|---|
한자 | 賜饌帖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원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0년 10월 14일 - 사찬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14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사찬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1월 24일 - 사찬첩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
현 소장처 |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출토|발견지 |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
성격 | 서첩 |
작가 | 영조 외 17인 |
소유자 | 한마 학원 |
관리자 | 경남 대학교 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왕실 관계의 서첩.
[개설]
사찬첩(賜饌帖)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보관하고 있는데 사찬첩은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1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사찬첩은 1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찬첩에는 영조대왕의 어제시(御製詩) 1수와 삼주(三洲) 이정보(李鼎輔)[1693~1766]의 발문(跋文) 1편, 좌목(座目)[자리의 서열을 적은 목록]이 실려 있다. 크기는 33㎝×24㎝이고 12쪽으로 이루어진 필사본이며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에는 왕의 자문기구 기로소(耆老所)가 있었다. 기(耆)는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음[年高厚德]을 뜻하며 기로소는 태조 때부터 시작되었다. 기로소에는 70세, 2품관 이상의 고관만이 들어갈 수 있었다. 조선 시대 500년 동안 기로소에 든 대신은 700여 명 정도이다. 임금도 60세 이상이면 기로소에 들 수가 있었는데, 조선 27대의 임금 중 태조·숙종·영조·고종 단 4명만이 여기에 들었다.
왕이 기로소 대신들에게 베풀어 주는 연회가 기로연(耆老宴)이다. 여기에는 3가지 미덕을 담고 있는데 ‘부자의 도[父子之道]’, ‘군신의 의[君臣之義]’, ‘장유의 예[長幼之禮]’와 같은 조선 시대 국가 경영의 핵심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하들은 군주의 무병장수와 혜안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축하하고 국왕은 국가 원로들의 연륜과 경험을 중히 여겨 임금과 신하, 백성이 서로 마음이 통하는 화락한 세상을 꿈꾸었다.
사찬첩은 1762년(영조 38) 정월 초8일에 기로소에 소속된 여러 신하와 종친, 공신들이 주강(晝講)을 행하고, 들어가 왕을 모시고 중순강(中旬講)을 행하였다. 이에 영조대왕은 기로소의 여러 신하들과 대려훈신(帶勵勳臣)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리고 세월의 무상함을 노래하였다. 『영조실록』에는 이날의 행사에 대해 “기로의 신하에게는 부장(扶杖)하는 예가 있으니 기로의 신하가 들어 올 때에는 그 자제로 하여금 부축하게 하라”고 기록하고 있다. 사찬첩에는 이날 영조대왕이 옛날을 회상하며 지은 어제시(御製詩) 1수와 이날의 모임이 이루어지게 된 경위, 모임에 참석한 기로소 소속 대신 10명의 명단이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자신들을 불러준 임금의 따뜻한 마음에 감사한다는 뜻으로 우참찬(右參贊)[조선 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이정보가 쓴 발문도 함께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