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구질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600810
영어의미역 Funeral Song of Ramming Earth
이칭/별칭 「회다지소리」,「가래소리」,「달구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부천시
집필자 정인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장례의식요
기능구분 장례의식요
형식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이기명[인천시 남구 선학동]

[정의]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장례를 치를 때 부르던 노래.

[개설]

「달구질 노래」는 무덤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장례 절차 중 하관시간이 되면 시신을 땅에 묻게 되는데, 시신이 든 관을 묻기도 하고 탈관하여 묻기도 한다. 하관 의례를 마치면 회와 흙으로 광중을 메워가면서 ‘달구질’ 또는 ‘회다지기’를 한다. 묻을 때 흙에 석회가루를 섞기 때문에 회다지기라고도 불린다. 횟가루를 넣는 이유는 벌레들의 근접을 막을 수 있고, 흙과 함께 섞어 넣으면 좀 더 단단하게 굳어지기 때문이다.

회다지기는 한 차례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얼마 정도의 흙과 회를 붓고 다지고, 또 붓고 다지고 해서 세 번 정도 다진다. 그러나 노자의 명목으로 상주들에게 조금 더 돈을 추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일곱 번 이상도 했다고 한다. 단 변하지 않는 것은 홀수라는 점이다.

[채록/수집상황]

인천광역시 남구 선학동에 사는 이기명[남, 45]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인천시, 옹진군편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달구질 노래」는 선소리꾼이 소리를 메기면 달구꾼들이 뒷소리를 받으며 막대기로 땅을 다지고 발로 밟고 빙빙 돌면서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부른다. 「달구질 노래」는 보통 긴소리와 짧은소리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어디든지 이 두 소리를 기본으로 한다. 「상여 소리」의 경우 받는 소리, 즉 후렴의 가사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데 반해 대체로 「달구질 노래」의 후렴은 “에헤이리 달구”라고 해서 기본적으로 ‘달구’ 또는 ‘달고’질을 가사에 담고 있다. 긴소리에는 이것을 길게, 짧은소리에는 이것을 짧게 부른다.

부천 지역의 「달구질 노래」역시 긴소리와 짧은소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후렴은 “에이 헤이 달호”로 ‘달고’, ‘달구’와 다른 형태를 보인다. 「달구질 노래」는 긴소리와 짧은소리 두 종류에 머물지 않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소리가 추가된다. 이는 「상여 소리」에서도 보이는 구성인데 「달구질 노래」「상여 소리」보다도 한층 더 다양한 소리들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의 「달구질 노래」는 긴소리→자진소리→꽃방아타령→어러러소리→상사소리→새날리는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금산리의 「달구질 노래」는 느린달구→자진달구→방아타령→에헤야소리→상사소리→우야훨훨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천 지역의 「달구질 노래」는 단순하다. 긴소리→넘차소리→긴소리→넘차소리→긴소리의 형태로 두 소리가 반복되는 모습을 보인다. 긴소리에서는 ‘달호’의 후렴구가 보이며 넘차소리에서는 “에헤 헤이헤이 에헤이 넘차 넘아”가 후렴구로 삽입됨으로써 ‘긴소리’ 보다 더 긴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부천 지역의 「달구질 노래」는 형식상 긴소리와 짧은소리의 2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 지역에서는 긴소리에 속하는 소리가 부천 지역에서는 짧은소리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달구질 노래」의 사설은 일반적으로 명산명기를 잡는 내용, 착한 일을 많이 하여 공과 덕을 쌓으라는 내용으로 축원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또한 사설 내용마다 상두꾼들에게 작업을 독려하거나, 지시하는 내용을 담기도 한다. 그것은 「달구질 노래」가 의식요이면서 노동요이기 때문이다. 부천 지역의 「달구질 노래」는 경기도 「달구질 노래」의 한 유형으로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단 명산명기를 잡는 내용과 노동요의 내용은 없고 「회심곡」과 「노래가락」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춘이 어느새 지고 북망산천으로 가야만 하는 죽은 자 자신의 안타까움과, 젊을 때 하고 싶은 일들을 마음껏 하라는 남은 이들에게 전하는 망자의 말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천 지역의 「달구질 노래」는 경기 지역 민요와 큰 차이점이 없지만 후렴구가 수시로 바뀌는 모습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에이 헤이 달호-에 헤 헤헤이 어거리 넘차 넘아-에~ 헤이 달호-예 예이리 사도여어-에헤 헤이헤이 에헤이 넘차 넘아-하 하이 달호” 순으로 후렴구가 변화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