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달 풍속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627
한자 閏-
이칭/별칭 공달, 여벌달, 덤달, 남은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윤달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윤달을 맞아 하는 풍속.

[개설]

윤달[閏月]은 태음력(太陰曆)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불어난 어느 한 달을 말하며, 태음력에서 날짜가 계절과 한 달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 두 번 거듭되는 달을 말한다. 윤달은 공달[空月], 덤달, 여벌달, 남은달이라고 부른다.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 놓아도 아무 탈이 없다.”라고 할 만큼 윤달은 무탈한 달로 여긴다.

[연원 및 변천]

윤달은 태음력에서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한 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열두 달로 환산하면 도합 354일이 된다.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보다 11일이 모자라게 된다. 이렇듯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太陰曆)으로는 태양력과 날짜를 맞추기도 어렵거니와 계절의 추이를 정확하게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윤달은 이러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만든 치윤법(置閏法)에서 나온 개념이다.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전승되는 윤달 풍속은 다양하지만 현재는 많이 축소되어 부모님 수의 마련, 조상 묘소 손질, 이장(移葬)과 같은 것을 윤달에 하고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서는 윤달을 ‘공달’이라고 하며 어떤 일을 해도 탈이 없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못을 거꾸로 박아도 아무 탈이 없다’고 하며 평상시에는 조심하는 가토[객토]와 묘 이장을 하거나 수의를 짓는다. 반면 윤달에 혼사를 치르면 좋지 않다고 하여 미루는 경우도 있다. 윤달이 아니라 하더라도 매일 일진을 보아서 손이 있는 날과 손이 없는 날을 구분한다. 그 중 초하루와 초이틀은 동쪽에 손이 있고, 초사흘과 초나흘에는 남쪽에 손이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초아흐레와 열흘에는 손이 없다고 믿어 이렇게 하루하루 일진을 가려 어떤 일을 할 때도 탈이 나지 않도록 최대한 조심한다. 만약 손이 있는 날에 못을 박으면 눈에 티눈이 생기고 몸에 부스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고 하며, 이때 박았던 못을 빼면 감쪽같이 낫는다고 한다.

의성군 사곡면 공정 3리 용소 마을에서는 윤달에 ‘먼옷’[수의]을 만들어 놓으면 좋다고 여겨 대개 윤달에 수의를 마련해 둔다. 그리고 조상의 묘에 떼[띠]를 입히는 등 주로 산소를 돌보는 집이 많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