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971 |
---|---|
한자 | 鄭岳 |
이칭/별칭 | 복여(福汝),월봉(月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하창환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복여(福汝). 호는 월봉(月峰).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예로 아버지는 정전섬(鄭全暹)이다.
정악(鄭岳)[1779~?]은 12살 때 아버지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마시게 하는 지극한 효성을 보였다. 그러나 아버지는 오래 살지 못하고 할머니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야 할 처지가 되었다. 이에 아버지는 자신이 못 다한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아들에게 부탁하고 세상을 떠났다. 아버지의 유명(遺命)을 받들어 할머니를 모시는 데 정성을 다했다.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승중손(承重孫)으로 3년간 시묘를 하였는데 저녁마다 호랑이가 와서 그를 지켜주었다.
정악의 이러한 효심에 감화된 어린 두 아들은 날씨에 구애되지 않고 해가 질 때면 묘소에 와 아버지와 함께 자고 아침이 되면 귀가하였다. 그래서 그의 효자비에는 “사세오효비(四世五孝碑)”라고 적혀 있다.
마을 사람들의 상소로 1867년 조봉대부 동몽교관(朝奉大夫 童蒙敎官)에 추증되었다. 그리고 낙파(洛坡) 유후조(柳厚祚)가 전기를 짓고, 도정(都正) 성재평(成在平)이 실록을 썼다. 1981년 4월에는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주선 2리에 숭효각이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