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918
한자 申相夏
이칭/별칭 계순(繼舜),구암(矩庵)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39년연표보기 - 신상하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신상하 사망
출생지 신상하 출생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지도보기
묘소|단소 신상하 묘소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
성격 유학자
성별
본관 아주(鵝洲)
대표 관직|경력 향약장

[정의]

개항기 의성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계순(繼舜). 호는 구암(矩庵). 생부는 신명호(申命祜), 모친은 김정진(金精進)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 계부는 신인협(申寅協), 계모는 이관발(李觀發)의 딸 영천 이씨(永川 李氏), 조부는 신면목(申冕穆), 증조부는 신만교(申萬敎)이다.

[활동 사항]

신상하(申相夏)[1839~1906]는 1839년(헌종 5) 5월 7일 경상도 의성현 팔지리(八旨里)[현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할아버지 신면구(申冕九)[생부 신명호의 부친]에게서 수학하였으며, 15세 때 고문(古文)과 경전(經傳)을 두루 익혔다고 한다. 1853년(철종 4) 할아버지 신면구는 세상을 떠나기 전, 장성하면 유치명(柳致明) 문하에서 공부하라는 유언을 신상하에게 남겼다.

23세가 되자 신상하는 유언대로 유치명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그 문하에서 당대의 명유 이돈우(李敦禹), 김도화(金道和)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었다. 1864년(고종 1)에는 봉두산(鳳頭山)[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일대] 남쪽에 강학을 위한 작은 정자를 지었는데, 이후 신상하는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을 연마하는 데 주력하게 된다. 1891년(고종 28) 당시 경상도 관찰사였던 이헌영(李𨯶永)은 『향약절목(鄕約節目)』을 편찬한 뒤, 도내 각 고을에 배포하며 향약 시행을 권장하였다. 이에 따라 의성 지역에서도 향약 시행을 위한 조직이 결성되었는데, 신상하가 향약장(鄕約長)을 맡았으며, 향교와 구호 서당(龜湖書堂)[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위치]에서는 직접 강학(講學)을 하였다. 1893년(고종 30) 인근 군위현(軍威縣)으로 이주하였다가, 1895년(고종 32)에는 풍기군(豊基郡)으로 다시 거처를 옮겼다. 1906년(광무 10) 3월 22일 병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는 4권 2책의 『구암집(矩庵集)』이 전하는데, 1955년 아들 신성환(申成煥)이 간행한 것이다. 『구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사문일수록(師門日受錄)」은 1861년(철종 12) 5월 7일부터, 18일까지 스승 유치명과 학문에 대해 문답한 것을 기록한 것이며, 「향약절목후(鄕約節目後)」는 1891년(고종 28) 의성에서 향약을 시행할 때 그 의의와 유래 등을 설명한 것이다. 또한 「용학강의(庸學講義)」는 구호 서당에서 강학할 때 여러 문생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것으로, 이러한 글들은 성리학에 대한 신상하의 학문적 수준을 가늠케 해준다.

한편, 『구암집』에 수록된 아들 신성환의 유사(遺事)에 따르면, 신상하가 7대조 신우석(申禹錫)[1638~1695]부터 자신 대까지, 선조들의 행록(行錄)과 만뢰(挽誄)를 모아 『단구세적(丹邱世蹟)』 2책을 편찬했다고 한다.

[묘소]

『구암집』의 행장과 유사에는 팔지(八旨)[현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에 묘소가 자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