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모내기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645
이칭/별칭 모심기가,모내기 소리,모노래,이앙가(移秧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집필자 박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모내기가」 『의성군지』에 수록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 구분 교환창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채록/수집 상황]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모내기가」는 경상도 지역뿐만 아니라 경기도, 전라도 등의 논농사 지역에서 가창되는 가장 대표적 민요 중 하나로 교환창 방식으로 불려진다. 교환창 양식을 통해 일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일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사설의 내용은 노동 당시 상황에 따라 즉흥적인 경우가 많다.

[내용]

쥔네나 양반들아 들어보소/ 이물게 처정청 저물게 처정청 다 헐어 놓고/ 장터 길에 소첩 두고 밤에도 가고 낮에도 가나/ 햇빛 쨍쨍 내리쪼는 이 날에/ 긴긴 논빼미를 언제나 다 심을꼬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내기가」는 농업 노동요의 하나이다. 노동요는 원래 노동 그 자체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지만, 때로는 노동하는 사람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이 더욱 중요시 되는 경우도 있다. 의성군의 「모내기가」에는 고단한 노동이 끝나기만을 고대하는 가창자의 심정이 나타나 있다.

[현황]

「모내기가」는 과거 농업 사회의 노동에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했으나 농업 방식이 현대화·기계화되면서, 농업 노동에서 「모내기가」의 위상은 점점 낮아져 현재는 거의 불리지 않는 등 그 명맥 또한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의의와 평가]

의성군에서 가창되었던 「모내기가」는 가창자들이 고된 노동에 따른 피로와 개인사의 괴로움 등을 사설에 담아 풀어냄으로써 괴로움을 잠시나마 풀어주는 활력소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참고문헌]
  • 『경북 민요』 (조동일, 1977)
  • 『의성 군지』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 1998)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관광 지식 정보 시스템(http://www.tour.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