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170
한자 畜産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경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가축을 사육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사업.

[개설]

축산업은 소, 돼지, 닭, 양, 오리 등의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여 인간의 실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산업이지만, 조선 말기까지 축산의 발전은 미미하였으며, 식생활에서도 축산물의 비중은 낮았다. 국민 소득 수준의 증대로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면서 축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축산 농가 소득 증대, 국내 시장 개방에 대비하여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축산물은 생산은 물론 그 생산된 축산물을 가공·처리하여 유통하는 전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변천]

의성군의 가축 현황을 알 수 있는 자료인 『의성지』에 의하면, 1932년에 의성군에는 말 286마리, 나귀 20두, 노새 7두, 돼지 2,355두, 산양 297두, 닭 4만 5120두 등이 있었으며, 이때 이미 축산 조합이 건립되어 있었는데 세출액은 2만 4945원이었다. 1950년대 들어서면서 축산업은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되었다. 1954년에「가축 보호법」이 제정·공포되었고, 「가축 보호법」에 따라 축산협회를 조합으로 개편, 1954년 7월부터 가축의 등록을 실시하여 축산 정책이 체계화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에는 국민 소득의 향상으로 축산물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축산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품종이 우수한 유우, 육우, 종돈과 종계 등을 도입함으로써 사육 두수뿐만 아니라 품종 개량에도 현저하게 발전하면서 전업 축산 농가도 등장하게 된다.

1974년~1985년에는 가축 사료의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초식 가축의 증식 정책을 펼치면서 한우, 육우, 유우의 증식 및 기반 조성을 위해 농업 협동조합·축산업 협동조합의 진흥 기금을 초지 조성을 통한 사료 작물 재배에 투자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축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대외 개방에 대비한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설 자동화, 가축 사육 환경 개선, 분뇨 처리 시설, 이력 추적제 등 종합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황]

의성군의 가축 사육 현황을 살펴보면, 1990년에는 한육우 7,693가구 1만 4102마리, 유우 47가구 1만 8133마리, 양돈 293가구 1만 8313마리, 양계 936가구 40만 6019마리를 사육하였다. 2010년에는 한육우는 1,875가구 3만 8075마리, 유우 11가구 847마리, 양돈은 51가구 8만 2826마리, 양계는 762가구 274만 3000마리를 사육하였다. 이처럼 가축 사육 농가는 점점 줄어들고 사육 두수는 늘어나는 것은 축산업을 전문화하여 규모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의성군은 2004년 6월 24일 번식우의 효율적인 사양 관리와 브루세라병 등 각종 전염병을 예방하고 체계적인 번식 관리를 통한 우량 송아지 생산을 목적으로 회원 188명이 모여 의성 번식우 작목반을 설립되었으며, 2011년 1월에 전국 한우 협회 의성군 지부로 이관되었다.

축산물 가공·유통 업체 현황을 살펴보면, 축산물 가공 업체로는 식육 포장 처리 업체가 3개 업체가 있으며, 축산물 운반 업체는 2개 업체, 그리고 축산물 판매 업체는 144개 업체가 있으며, 이 중 식육 판매 업체는 134개 업체, 우유류 판매 업체는 10개 업체이다. 의성군 관내에는 도축업체는 없다. 의성군은 의성 마늘 목장 육성 사업을 통해 최고의 의성군 축산물 통합 브랜드를 만들었으며, 의성 마늘 소 먹거리 타운을 조성하여 저가격 고품질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축산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식품의 안정성이 축산물의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므로 HACCP[위해 요소 중점 관리 우수 식품], 이력 추적제를 실시하고 한우의 명품화를 적극 추진하여 지역 브랜드 축산물 생산에 만전을 기함으로서 식품의 안정성과 품질 관리를 통해 향후 지역 축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