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985
한자 金鎬榮
이칭/별칭 성려(成麗),춘계(春溪)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 2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용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11년연표보기 - 김호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37년 1월 - 김호영 쌍령 전투 참전
몰년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김호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93년 - 김호영 조봉대부 동몽교관에 추증
출생지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 2리지도보기
성격 의병
성별
대표 경력 증 훈련원 봉사

[정의]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의병.

[가계]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려(成麗), 호는 춘계(春溪). 5대조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이며, 고조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김대장(金大壯)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김순(金錞)으로 화(禍)를 피하여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경상도 의성군 팔지리(八智里)로 이거하였다. 할아버지는 김치방(金致邦)이고, 아버지는 설강(雪崗) 김득민(金得民)이고, 부인은 김득명(金得鳴)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다.

[활동 사항]

김호영(金鎬榮)[1611~1637]은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알 수 없다.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아버지 김득민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고립된 임금을 구하기 위해 의병을 일으키자, 아들인 김호영이 함께 참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가족을 돌 볼 사람이 필요하다고 아들의 참전을 말렸음에도 김호영은 아버지가 국난에 참전하는데, 아들이 어찌 가족을 돌보고 있겠는가라고 눈물로 호소하였다. 결국 김득민이 허락하여 김호영도 함께 출전하였다.

1637년 1월 10일에 조령(鳥嶺)에 도착하여 곳곳에서 오는 근왕지사(勤王之士)들을 만났다. 1월 15일에 쌍령(雙嶺)에서 적을 맞아 싸우다 김득민이 전사하였다. 이에 김호영은 가노(家奴)에게 집으로 돌아가 아버지가 돌아가신 일을 알리라 말하고, 자신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어찌 살겠냐며 적진에 뛰어들어 분전하다가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55년 후손인 김덕곤(金德坤)이 김득민, 김호영 부자의 유고(遺稿)를 모아 2권 1책의 『설춘양세충효록(雪春兩世忠孝錄)』을 편찬하였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토현리 소골[우동(牛洞)] 유좌(酉坐)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전쟁에서 세운 공으로 선략장군(宣略將軍) 훈련원 봉사(訓練院 奉事)의 증직이 내렸고, 1893년에 다시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이 추증되었다.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에 충효각(忠孝閣)을 세워 부자를 기리고 있다. 충효각은 당초 경의사(景義祠)라고 하였으나 훼철되었고, 1961년에 다시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