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754
한자 集姓村
이칭/별칭 동성 마을,씨족 마을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영진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개설]

집성촌은 삼국 시대 또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중기부터이다. 특히 조선 후기인 17세기 이후 집중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적장자 중심으로 상속 제도가 변화하고, 『주자가례(朱子家禮)』가 보급되면서 예학(禮學)이 발달하고, 종법에 입각한 가족 제도가 수용되면서 집성촌 형성이 가속화된 것이었다.

집성촌은 생활 공동체로서 동일 조상에 대한 제사와 대동계·동계(洞契)·동약(洞約)의 조직 및 관리, 문중 서원과 사당의 건립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종가를 중심으로 혈족의 존속과 사회 경제적 특권의 유지를 도모하면서 향촌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의성의 집성촌 성씨 분포는 안동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이는 의성이 안동과 인접하여 안동의 토성(土姓)들이 많이 이주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촌성(村姓)과 속성(續姓), 호장들이 득세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의성의 토성으로서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성씨는 의성 김씨가 유일하다. 의성 김씨는 의성의 토성이긴 하지만 나중에 재지 기반이 안동으로 쏠리게 된다.

[현황]

의성 김씨들이 의성에서 재지 사족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고려 시대 의성 현주였던 김용비(金龍庇)가 의성 일원에서 침투한 홍건적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이등 공신 고려 금자 광록대부(金紫 光祿大夫) 태자 첨사 의성군(太子 詹事 義城君)으로 제수되면서부터이다. 김용비는 조선 시대까지 의성현의 수호신으로 제사를 받을 만큼 의성 김씨들은 지역의 강력한 재지 세력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후 김용비의 아들인 김거두가 의성에서 안동으로 이주하면서 의성 김씨들의 세력이 안동 지역까지 확산되어 많은 세거 집성촌을 이루며 살게 된 것이다.

반면에 의성에는 안동 지역의 토성이자 재지 호족이었던 성씨들이 이주하여 많은 세거 집성촌을 이루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집성촌이 안동 권씨와 안동 김씨, 일직 손씨 등이다. 그밖에도 선산 지역에서 사림세력을 구축하였던 선산 김씨, 의성 지역 호장 및 촌성을 대표하여 비안 고을 ‘변이장’으로 일컬어졌던 초계 변씨와 순천 장씨, 양성 이씨, 아주 신씨, 해주 오씨, 우봉 이씨의 집성촌이 대표적이다. 아래 표는 성씨별 집성촌 현황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