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551
한자 義城鄕校
이칭/별칭 문소 향교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도동리 808]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백지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394년연표보기 - 의성향교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602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중건(1602)
개축|증축 시기/일시 1670년 - 의성향교 확장
개축|증축 시기/일시 1681년 - 의성향교 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45년 - 의성향교 대성전, 명륜당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762년 - 의성향교 대성전, 광풍루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787년 - 의성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05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보수(1805)
개축|증축 시기/일시 1851년 - 의성향교 대성전 보수 및 번와
개축|증축 시기/일시 1871년 - 의성향교 대성전, 명륜당, 광풍루 보수 및 번와, 단청
개축|증축 시기/일시 1889년 - 의성향교 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890년 - 의성향교 대성전 확장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0년 - 의성향교 광풍루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1년 - 의성향교 명륜당 중수 및 대성전, 서재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0년 - 의성향교 위토 정비
개축|증축 시기/일시 1954년 - 의성향교 한국 전쟁으로 소실된 위판 복향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8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보수(1968)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1년 - 의성향교 광풍루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0년 - 의성향교 대성전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2월 24일연표보기 - 의성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의성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2년 - 의성향교 명륜당, 광풍루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1년 - 의성향교 서재 중건, 향교 일곽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2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보수(1992)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3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보수(1993)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4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 보수(1994)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7년 - 의성향교 향교 일곽보수
현 소재지 의성향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 808지도보기
성격 햑교
양식 맞배지붕[대성전]|팔작지붕[명륜당]|맞배지붕[동재]|맞배지붕[광풍루]
정면 칸수 5칸[대성전]|4칸[명륜당]|4칸[동재]|5칸[광풍루]
측면 칸수 2칸[대성전 ]|3칸[명륜당]|4칸[동재]|3칸[광풍루]
소유자 경북 향교 재단
관리자 경북 향교 재단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국립 교육 기관.

[개설]

의성향교(義城鄕校)는 조선 시대 지역 유생들이 머물며 수학한 교육 기관으로, 1394년(태조 3)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를 배향하였으며 향교 내에 대성전을 두어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제향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교육과 제사를 위해 향교를 출입하던 의성의 재지 사족이 이곳에서 향론을 형성하는 등 향촌 자치 기구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위치]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도동리 808]에 있다. 의성군청에서 중앙길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다가 향교길과 교차하는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직진한다. 이 길을 따라 약 400m 가량 이동하면 넓은 공간에 의성향교가 자리잡고 있다.

[변천]

의성향교의 경우 창건 당시 기록이 소략한 탓에 역사를 명확히 밝히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다만 향교 초창기의 상황은 『의성현지』 학교 항목에 수록된 「현인 남몽뢰기」를 통해 일부 파악해 볼 수 있다. 기문의 내용을 보면 의성 지역에는 문소군 초부터 공자의 사당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당시 이곳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다섯 명의 성인에게 제사를 지냈던 것으로 짐작되며, 고려 시대에는 향교의 역할도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점차 쇠퇴하여 그 유지만 남았는데 조선 초에 퇴락한 건물을 복건한 것으로 보인다. 1999년에 간행된 『의성 향교지』에서는 그 시기를 1394년(태조 3)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성종 대에 들어서 현령 이종준(李宗準)[1458~1499]에 의해 지금의 동산으로 이전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2년(선조 35) 현령 허민중(許旻重)이 중건하였고, 1670년(현종 11) 현령 이당규(李堂揆)에 의해 확장되었다. 이후에도 의성향교는 여러 차례 중수한 흔적이 보인다. 1762년에 작성된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1787년 또는 1847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향교성전중수여포우변통기(鄕校聖殿重修與脯牛變通記)」, 1856년 작성된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1871년 작성된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1889년 작성된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1890년 작성된 「문소향교성전중수기(聞韶鄕校聖殿重修記)」 등을 통해 지속적인 중수 작업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대성전 암막새에 남아 있는 명문에 “강희이십년신유(康熙二十年辛酉)”이라고 명기되어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시기의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일제 강점기에는 향교의 기능이 크게 위축되었다. 하지만 의성 지역 유림들의 노력으로 1922년 명륜당과 광풍루가 중수되었고, 1930년에는 위토(位土)를 정비(整備)하고 묘당(廟堂)·누원(樓垣)·상탁(床卓)을 개수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1950년 6·25 전쟁으로 소실된 위판을 1954년에 복향시켰다. 1968년에 향교 일곽을 보수하였고, 1971년 광풍루, 1980년 대성전, 1982년 명륜당·광풍루를 보수하였다.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일곽을 보수하였다. 이후 1992년과 1993년, 1994년, 1997년에도 각각 보수 작업을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의성향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이 동측 전방의 높은 터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은 서측 후방의 낮은 터에 각각 별개의 토담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좌묘우학(左廟右學)의 배치 형태를 보인다.

대성전은 조선 중기 건축물로,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익공계 맞배지붕 건물이다. 공자를 비롯한 5성[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 송조의 4현[주렴계·정명도·정이천·주자], 해동 18현[신라의 설총·최치원, 고려의 안향·정몽주, 조선의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성혼·이이·조헌·김장생·김집·송준길·송시열·박세채]이 모셔져 있다. 동·서무는 없다. 경내의 정면과 측면에 사주문을 두어 출입하였다. 현재 대성전 지붕에는 1681년의 것으로 보이는 ‘강희 이십년 신유 사월 일 의성관(康熙二十年辛酉四月日義城官)’ 기와와 1890년의 것으로 파악되는 ‘경술 윤 이월 의성관……(庚戌閏二月義城官……)’·‘강희 이십년 신유 사월 일 의성관(康熙二十年辛酉四月日義城官)’ 기와 등 다수의 명문와가 남아 있다.

명륜당은 조선후기 건축물로, 전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명륜당 내에는 「의성 향교 학자기(義城鄕校學資記)」·「학령(學令)」 등 다수의 기문이 걸려 있다. 명륜당 앞에 있는 서재는 허물어지고 동재만 남아 있었으나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다. 누문인 광풍루는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계 맞배지붕의 중층 누각 건물이다. 이층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상층 내부에는 「의성 향교 광풍루 중수기(義城鄕校光風樓重修記)」가 걸려 있으며, 전면 어칸 상부에 ‘광풍루(光風樓)’라는 현판을 달았다. 이 밖에 교직사, 비각, 화장실, 협문 3동 등이 있다.

[현황]

의성향교는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향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88년에 『의성 향교지(義城鄕校誌)』가 발간될 당시까지 향교에는 향교의 유래, 향교의 연혁, 의성의 향약, 의성향교의 권과절목(勸課節目) 등의 기문을 비롯하여 20여 건의 향교 관련 중수기(重修記), 축문(祝文) 등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06년 일반 동산 문화재 다량 소장처 실태 조사 보고서(Ⅰ)』를 보면 고문서와 고서는 대부분 인멸되었고, 「문소성전중수기(聞韶聖殿重修記)」·「의성향교학자기(義城鄕校學資記)」·「향교성전중수여포우변통기(鄕校聖殿重修與脯牛變通記)」·「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의성명륜당중건기(義城明倫堂重建記)」 등 22개의 현판이 조사되었다. 다행히 향교에서 소장하고 있던 자료는 『의성 향교지』에 영인되어 일괄 수록되어 있으며 19세기 전후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성현지』와 1832년 경 편찬된 『경상도읍지』 등에도 일부 기문이 수록되어 있다.

의성향교에서는 석전대제(釋奠大祭)가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기로연 행사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고가 음악회인 〈전통과 현대의 만남, 고가에서 만나는 ‘Happy Concert’〉를 개최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0.21 연표 오류 수정 1545년(태조 3) -> 1394년(태조 3)
이용자 의견
이** [변천]편에 경북항교지를 의성향교지로 정정 바랍니다.
  • 답변
  • 디지털의성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7.24
김** ㅇ 이후 성종 대에 들어서 현령 이종준(李宗準)[?~1499]에 의해 ....를
ㅇ 이후 성종 대에 들어서 현령 이종준(李宗準)[1458~1499]에 으로 수정
바랍니다.
  • 답변
  • 디지털의성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7.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