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493
한자 鄕校
이칭/별칭 문소 향교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백지국

[정의]

조선 시대 의성 지역에 건립되었던 지방 국립 교육 기관.

[개설]

조선은 건국과 함께 지배 이념을 불교(佛敎)에서 유교(儒敎)로 교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체제의 확립과 이념 보급을 위해 정책을 시행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아직 국가의 영향력이 충분히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교화를 위해 일읍일교(一邑一校)의 원칙 아래 전국 각지에 향교(鄕校)를 설립하였다. 향교가 처음 설립된 것은 고려 시대이지만, 조선 시대에 이르러 인재를 양성하고, 선현에 제사를 지내는 교화의 중심지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받게 된 것이다. 향교는 또한 재지 사족(在地士族)이 출입하던 활동 공간으로서, 향청(鄕廳), 서원(書院)과 더불어 일종의 향촌 자치 기구로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의성의 향교]

지금의 경상북도 의성군은 조선 시대의 의성현(義城縣), 비안현(比安縣)을 비롯하여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인 단밀현(丹密縣), 보주(甫州)[예천]의 속현인 다인현(多仁縣)과 용궁현(龍宮縣)의 일부분[현 안사면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속현이었던 단밀현다인현에는 향교가 건립되지 않았으나, 주읍이었던 의성현과 비안현, 용궁현에는 향교가 건립되었다. 그러나 용궁현에 건립된 용궁 향교(龍宮鄕校)는 현재 예천군의 행정 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의성 관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의성 향교(義城鄕校)비안 향교(比安鄕校)이다.

의성 향교는 1394년(태조 3)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현재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도동리 808]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성종 때 현령이었던 이종준에 의해 이건된 자리로 원래 향교가 있었던 곳은 자료의 부족으로 알 수 없다. 의성 향교는 좌묘우학(左廟右學)의 배치 형태를 보이며, 대성전(大成殿)을 비롯한 명륜당(明倫堂)·동재(東齋)·서재(西齋)·광풍루(光風樓)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비안 향교는 창건 당시의 기록이 소략한 탓에 그 내력을 밝히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조선의 개창과 함께 설립되었거나 1421년(세종 3) 지역 이름을 안비현으로 고쳤을 때, 혹은 1423년 비안현으로 이름을 고치고 비옥에 치소를 두었을 때 설립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화길 65-14[교촌리 285]에 위치하고 있는데, 1737년(영조 13)에 이전한 곳이다. 비안 향교는 좌묘우학(左廟右學)의 배치형태를 보이며, 대성전(大成殿)·동무(東廡)·서무(西廡)·명륜당(明倫堂)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2년 11월 26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263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의성 향교비안 향교는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를 배양하며 교육적 기능은 물론 선현에 봉사하는 제향적 기능을 수행하였고, 지역 양반들과 밀접한 이해 관계를 맺으며 향촌 자치기구로서의 활용되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교육 및 향촌 자치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채 제향적 기능만을 유지하게 되었다. 특히 비안 향교의 경우 동·서재가 없는데, 이는 교육적 기능을 상실한 조선 후기 향교 건축물의 예로 이 시기 향교의 성격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0.21 연도 오류 수정 1545년(태조 3) -> 1394년(태조 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