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의관(醫官). 본관은 순천(順天), 초명은 명휘(命徽), 자는 군석(君錫)이다. 1737년(영조 13)에 태어난 강명길(康命吉)[1737~1801]은 1768년(영조 44)에 식년시(式年試) 의과(醫科)에 급제하여, 1769년에 내의원 의관이 되었다. 정조(正祖)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부터 총애를 받아 의약에...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원경(遠卿), 호는 난곡(蘭谷)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姜士尙), 할아버지는 강온(姜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 외할아버지는 윤광운(尹光雲)이다. 강서(姜緖)[1538~1589]는 1538년(중종 33)에 태어나 1564년(명종 19) 소과(小科)...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는 중소(仲邵)이다. 아버지는 예조 참판을 지낸 강징(姜澂), 할아버지는 강이행(姜利行), 증조할아버지는 강안복(姜安福), 어머니는 연일 정씨로 정미(鄭湄)의 딸이며 처는 유응대(柳應臺)의 딸이다. 강억(姜億)[1498~?]은 1498년(연산군 4) 현재의 경기도 안산...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정경(正卿), 호는 청천(菁川)이다. 아버지는 강사필(姜士弼)이며, 할아버지는 강온(姜溫), 증조할아버지는 강영숙(姜永叔)이다. 어머니는 정윤수(鄭允壽)의 딸이다. 아들은 강홍중(姜弘重)이다. 강연(姜綖)[1552~1614]은 1590년(선조 23)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였다...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평중(平仲)이다. 아버지는 남부 주부(南部主簿) 강달성(姜達城)이고, 아들은 군수를 지낸 강여개(姜汝愷)이다. 강윤권(姜允權)의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1510년(중종 5)에 식년시(式年試)에서 생원이 되고, 1520년(중종 15)에는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지한(之翰), 호는 남계(南溪)이다.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곽황(郭隍), 할아버지는 곽득상(郭得常), 증조할아버지는 곽도(郭都)이다. 외할아버지는 박인효(朴仁孝)이고, 장인은 이지(李漬)이다. 동생은 곽종원(郭宗元)이다. 곽종번(郭宗藩)[?~1504]은 1483년(성종...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자는 인여(藺汝), 호는 미산(渼山), 시호는 무숙(武肅)이다. 아버지는 구병일(具秉一)이고,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생모는 함종 어씨이며, 부인은 고령 신씨이다. 구완식(具完植)[1825~1891]은 1851년(철종 2) 알성 무과(謁聖武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인 인천부 전반면(田反面)에 묘소가 있던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시회(時會), 호는 석담(石潭)이다. 아버지는 사어(司禦) 권근중(權謹中), 할아버지는 예조 판서 권협(權悏), 증조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이다. 어머니는 이유혼(李幼渾)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에 태어난 권대운(權大運)[1612~1699]은 1642년...
-
묘소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에 있었던 조선 시대 문신. 본관이 안동(安東)이며, 자는 중명(仲明)이고, 호는 폐호(閉戶)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다. 권근(權近)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권화(權和), 할아버지는 권이(權頤), 증조할아버지는 권영(權詠)이다. 어머니는 부정(副正) 윤건(尹健)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할머니 송 씨(宋氏) 슬하에서 자랐다. 영...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상(伯常)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순창(權順昌)이고, 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권경기(權儆己)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권세경(權世經)[1626~1704]은 1648년(인조 26)에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666년(현종...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진경(眞卿)이고 호는 풍암(楓岩)이다. 아버지는 권응창(權應昌), 할아버지는 권희맹(權希孟), 증조할아버지는 권상(權祥)이다. 권식(權寔)[1535~?]은 1535년(중종 30)에 태어나 1561년(명종 16)에 진사가 되었고, 1573년(선조 6) 식년시에 급제하였다...
-
조선 전기에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여(子輿)이다. 아버지는 금성 현령(金城縣令) 권수(權壽)이며,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권격(權格), 증조할아버지는 권순(權循)이다. 어머니는 의영고사(義盈庫使) 한가구(韓可久)의 딸이다. 효자로 이름이 높았다. 권주(權輳)[1458~1518]는 1480년(성종 11)...
-
조선 시대에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 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이 안동(安東), 자는 사열(思悅)이고 호는 남악(南岳)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권상(權常)이며, 할아버지는 권진(權振)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권욱(權旭)이다. 어머니는 나운걸(羅云傑)의 딸이다. 권희(權憘)[1547~1624]는 1568년(선조 1) 증광시에서 진사가 되고, 1...
-
조선 후기에 현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보(仲甫), 호는 용재(庸齋)이다. 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김시서(金時敍)이고, 어머니는 은진 송씨로 비안 현감(比安縣監)을 지낸 송이석(宋彛錫)의 딸이다. 강규환(姜奎煥)의 문인이기도 하다. 김근행(金謹行)[1712~?]은 김시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15세에...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달부(達夫)이다. 아버지는 김상겸(金尙謙), 할아버지는 김석경(金碩卿), 증조할아버지는 김한수(金漢秀)이다. 어머니는 정건(鄭鍵)의 딸이다. 김민선(金敏善)[1542~1592]은 1542년(중종 37)에 경기도 부평 도호부 지역에서 태어났다. 1564년(명종 19)...
-
조선 후기 인천 부사 겸 감리 인천항 통상 사무(仁川府使兼監理仁川港通商事務)로 재직한 문신이자 을사늑약 이후 활동한 의병.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정사(正斯)이다. 아버지는 김창재(金昌載)이다. 1852년에 태어난 김상덕(金商悳)[1852~1924]은 1888년(고종 25)에 경과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89년(고종 26)에 병조 정랑이 되었고, 같은 해 천진(天津...
-
조선 전기에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던 인천군(仁川郡)의 지군사(知郡事)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호는 괴정(槐亭)이다. 아버지는 김로(金輅)이고, 할아버지는 김광부(金光富), 증조할아버지는 김지예(金之銳)이다. 김숙검(金叔儉)의 생몰년은 알 수 없다. 1417년(태종 17) 정유 식년시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홍문관 직제학(弘文...
-
조선 전기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부에 묘소가 있다고 전하는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보(賢甫)이다. 아버지는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김신민(金新民), 할아버지는 김중성(金仲誠), 증조할아버지는 계림군(鷄林君) 김균(金稛)이다. 어머니는 홍수명(洪守命)의 딸이다. 김승경(金升卿)[1430~1493]은 1453년(단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6년(세...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경징(景徵)이고 호는 동촌(東村)이다. 아버지는 김급(金汲)이며, 할아버지는 김사원(金士元), 증조할아버지는 김여명(金汝明)이다. 어머니는 임보신(任輔臣)의 딸이다. 김낙(金洛)에게 입양되었다. 호조판서 김신국(金藎國)의 아우이다. 김시국(金蓍國)[1577~1655]은...
-
묘소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중례(仲禮), 호는 청사(淸沙) 또는 허주자(虛舟子),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김구(金構), 할아버지는 김징(金澄)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김극형(金克亨)이다. 어머니는 돈녕도정을 지낸 이몽석(李夢錫)의 딸이다. 아들은 영의정을 지낸 김치인(金致仁)이다. 김재로(金...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중길(重吉)이고, 호는 추곡(楸谷), 송림(松林)이다. 아버지는 생원 김순(金峋)이며,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김선경(金善慶)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김구이다. 어머니는 부호군(副護軍) 한광윤(韓匡胤)의 딸이고, 부인은 나주 정씨로 정언규(丁彦珪)의 딸이다. 아들은 김방(...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서(公緖)이다. 아버지는 김휘(金徽)이고, 할아버지는 김안로(金安老)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김흔(金訢)이다. 김찬선(金纘先)[1535~1594]은 1564년(명종 19) 식년시에 급제하였고, 1569년(선조 2) 별시 문과에 병과로 합격하였다. 군기시(軍器寺) 첨정(僉...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 일명 신기촌 일대에 있었던 큰 연못. 조선 시대 발간된 여러 종의 인천 지지(地誌)자료를 살펴보아도 대제(大堤)라는 명칭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산천 조에 ‘대지(大池)’가 소개되어 있고, 그 풀이에 ‘대(大)는 방언의 한(韓), 한(漢), 한[干]과 음과 뜻이 같다’라 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여지도서(輿...
-
이희목(李希穆)을 시조로 하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세거 성씨. 부평 이씨(富平李氏)는 이희목을 시조로 하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문학동·학익동·주안동·용현동 등지에 세거하였던 성씨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에서 후학 양성에 매진하였던 이세주(李世冑), 병자호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원도(猿島)[인천광역시 중구에 있었던 섬. 지금은 육지와의 사이가 매립되었다.]에 진을...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출신이거나 연고를 둔 자로서 남편을 잘 섬기고 절개를 지킨 여자. 열녀(烈女)란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여자를 가리키는 말로 열부(烈婦), 절부(節婦), 절녀(節女), 정녀(貞女)로도 불린다. 열녀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신라 진평왕 때의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백제 개루왕...
-
조선 시대의 인천에 관한 지리지인 『인천부 읍지(仁川府邑誌)』의 인물조 충신에 보이는 무신. 본관은 낙안(樂安), 오연(吳連)의 생몰년은 미상이다. 오연은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공으로 1604년(선조 37)에 호성 공신(扈聖功臣) 3등(三等) 석성군(石城君)에 봉해졌다....
-
채선무(蔡先茂)를 시조로 하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과 학익동, 문학동에 세거하던 성씨. 인천 채씨(仁川 蔡氏)는 채선무를 시조(始祖)로 하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학익동·문학동에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던 성씨이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의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인천 채씨의 고려 시대 문과 합격자로는 채보문(蔡寶文)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무과 11...
-
조선 전기 강희맹이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건치 연혁(建置沿革)을 기술한 글. 세조(世祖) 시기에 인천도호부사를 지낸 홍약치(洪若治)[1457~1461년 재임]가 친구인 강희맹(姜希孟)[1424~1483]에게 부탁하여 쓴 글이다. 세종비(世宗妃)인 소헌 왕후(昭憲王后)의 아버지 심온(沈溫)이 강희맹의 외할아버지가 된다. 심덕부(沈德符)는 인천 문씨(仁川門氏...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지낸 문신. 정언황(丁彦璜)[1597~1672]은 1597년(선조 30)~1672년(현종 13)에 활동한 문신이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외직에 있을 때는 고을에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중휘(仲徽) 또는 위수(渭叟)이며, 호는 묵공옹(默拱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응두...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로 임명되었던 문신.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의정부 전고과주사(議政府詮考課主事)·외문아문 참의·외부 교섭 국장·인천 부사·금구 군수·법부 형사 국장 등에 제수된 바 있으며, 일본 망명 이후에는 이완용 내각에서 법부대신, 농상공부 대신 등을 역임하였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하여 매국 7역신으로 규탄을 받았다...
-
조선 후기의 학자 이희조(李喜朝)[1655~1724]의 시문집. 『지촌집(芝村集)』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학산 서원(鶴山書院)에 배향된 조선 후기 학자 이희조의 시문집이다. 『지촌집』의 저자 이희조는 본관이 연안(延安), 자는 동보(同甫), 호는 지촌(芝村)이다.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제자로, 『송자 대전 차의(宋子大全箚疑)』, 『해동 유선록...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세거하는 동성동본(同姓同本)의 사람들이 모여 이룬 마을. 집성촌(集姓村)은 동성동본의 성씨 집단이 대대로 모여 사는 마을을 가리킨다. 집성촌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에 이미 형성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촌락을 형성한 것은 17세기 이후로 보인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경우에는 인천 이씨, 부평 이씨 등 인천을 본관으로 둔 성씨들이 고려 시대부터 등장하므로 고려 시...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수성(隨城)이며, 자는 언순(彦順)이고, 최자반(崔子泮)의 아들이다. 최희효(崔希孝)[1509~1589]는 1540년(중종 35)년 9월 내지(內地)의 수령으로 합당치 않다는 이유로 사간원에서 탄핵을 받아 광주 판관에서 체직되었다. 이후 1546년 창성 부사를 역임한 바 있으며, 1559년에는...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출신이거나 연고를 둔 자로서 국가와 왕을 위해 충성을 바친 사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는 문학산 주변에서 고인돌을 중심으로 한 청동기 시대 유적과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연고를 갖는 인물에 대한 기록이 박약하여 충신을 살펴보기 어렵다. 다만, 『인천부 읍지(仁川府 邑誌)...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에 대대로 살면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옥경(沃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상질(韓尙質)이며, 할아버지는 한기(韓起)이다. 전구서승(典廐署丞) 한명진(韓明溍)과 권제(權踶)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조카이다. 박인경(朴仁敬)의 딸과 결혼하여 한홍윤(韓弘潤), 한홍택(韓弘澤),...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지낸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아버지는 판서공(判書公) 한서룡(韓瑞龍)이고, 할아버지는 청성군(淸城君) 한승순(韓承舜)이다. 형인 한장손(韓長孫), 한중손(韓仲孫), 한종손(韓終孫)이 무과에 급제함에 힘입어 무과에 급제하였다. 동생인 한만손(韓萬孫)도 무과에 급제하여 오형제가 모두 무과에 급제하니, 국제(國...
-
첩 이조이가 『인천부 읍지(仁川府邑誌)』 열녀 편에 등재되어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이 양천(陽川)이며, 자는 미숙(美叔)이고, 호는 하곡(荷谷)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허엽(許曄)이고, 할아버지는 허한(許澣)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허담(許聃)이다. 어머니는 둘째 부인인 강릉 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이복형(異...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경회(景晦)이다. 아버지는 결성 현감 허운(許雲)이고 할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허순(許淳)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허광(許礦)이다. 어머니는 감찰 이구정(李龜楨)의 딸이고, 처는 영월 엄씨이다. 허흔(許昕)[1543~1622]은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아버지는 홍약충(洪若衷)이고, 1580년(선조 13) 별시 병과에 합격한 홍의필(洪義弼)의 할아버지이다. 홍계신(洪繼信)[?~?]은 무신으로 광주목의 목사, 부호군 등을 역임하였다. 1522년(중종 17) 인천도호부 부사로 부임하였으나 4개월 만에 파직되었다....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실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중(士中), 호는 유암(流巖)이다. 아버지는 예조 참의 홍주국(洪柱國)이다. 홍만선(洪萬選)[1643~1715]은 1666년(현종 7)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82년(숙종 8), 30세에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올라 내직으로는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광국(光國)이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홍명원(洪命源)이고, 할아버지는 홍천령(洪天齡)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홍세형(洪世亨)이다. 어머니는 이숙(李淑)의 딸이다. 홍성(洪晟)[1702~1778]은 1723년(경종 3) 증광시(增廣試)[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덕오(德五)이다. 홍기종(洪虁鐘)의 아들로 족숙(族叔) 홍석종(洪奭鐘)에게 입양되어 경기도 적성(積城)에서 생장하였다. 할아버지는 홍재정(洪在定), 증조할아버지는 홍제섭(洪濟燮)이다. 홍순학(洪淳學)[1842~1892]은 1857년(철종 8) 친림 춘당대 대왕대비전 보...
-
조선 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군의 지군사(知郡事)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아버지는 홍상검(洪尙儉)이다. 홍약치(洪若治)[?~?]는 1447년(세종 29년) 친시(親試)에 합격하고 교리를 지냈다. 1452년(문종 2)에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후 승문원 부교리(承文院 副校理)로 『세종실록(世宗實錄)』의 기주관이 되어 실록...
-
조선 전기에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덕원(德源)이다. 아버지는 경주 부윤 홍신(洪愼)이고, 할아버지는 홍경창(洪慶昌)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홍계강(洪係江)이다. 어머니는 신광택(申光澤)의 딸이다. 형은 홍부(洪溥)이다. 홍연(洪淵)[?~?]은 1546년(명종 1)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이 남양(南陽)이며, 자는 이강(而剛)이다. 아버지는 홍수만(洪秀晩)이고, 할아버지는 홍성연(洪聖淵)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홍경하(洪景夏)이다. 홍원섭(洪遠燮)[1798~?]은 1819년(순조 19) 식년시에서 진사(進士)가 되었다. 교하 군수(交河郡守)로 있다가 1842년(헌종 8) 8월 근...
-
조선 후기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가 속해 있었던 인천도호부의 부사를 역임한 문신, 학자, 서예가.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용(士用), 호는 오수(寤修), 도천(道川)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공을 세운 지소(芝所) 황일호(黃一皓)의 현손이다. 황운조(黃運祚)[1730~1800]는 1797년(정조 21) 7월 합천 군수로 있다가 인천 부사로 부임하여 치적을 많...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 출신이거나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효(孝)는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유교의 도리 중 하나로 충과 함께 중요시하였다. 가계(家系)의 연속을 중요하게 여긴 전통 가족 제도 아래서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우선하는 근원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부자 관계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일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