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품잇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034
영어공식명칭 Hanpumitjae Pass
이칭/별칭 함품이재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한품잇재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해당 지역 소재지 한품잇재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고개
높이 약 980m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고개.

[명칭 유래]

최남선이 쓴 『심춘순례(尋春巡禮)』 에 “전라남도 모범림 표지판이 보인 곳이 한품잇재 마루턱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함〉한풍이재는 높은 재란 뜻을 지니고 있다.

[자연환경]

한품잇재원효계곡삼밭실 위쪽에 자리하고 있다. 한품잇재에서 왼쪽으로 등성이를 타고 올라가서 수정병풍을 이룬 곳이 서석대이다. 지왕봉서석대 사이에 있고, 높이 980m로 광주광역시의 고개 중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다.

[현황]

무등산 정상인 천왕봉에서 지왕봉인왕봉에는 군부대가 1966년부터 주둔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무등산 정상부 지형의 훼손으로 4m 낮아진 1,183m로 확인되었다. 공군방공포부대가 주둔하면서 시설물 고정 차원의 볼트 설치, 주차장 조성, 헬기장을 포함한 시설물들의 시멘트 포장 등이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낙석 등의 위험을 우려한 주상절리 고정 시설물, 옹벽 설치 등 당초 지형과 다른 모습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부지는 108,428㎡으로 통합생활관 등 15개 건물과 컨테이너 20여 개이고, 18,864㎡는 콘크리트 등 포장제가 설치되어 있다. 공군부대 내에는 육군 건물 한 동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